국힘 장제원 의원 "윤석열 정부 임명직 맡지 않겠다"
당내 혼란 빠른 수습 당부하며, 계파근절 국회의원 책무 올인 선언 1997년 권노갑 등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계 가신 '용퇴선언' 복기
[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앞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어떠한 임명직 공직을 맡지 않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의 31일 일성이다.
장 의원은 이날 자신의 SNS에 국민의힘 내 혼란에 대한 ‘무한 책임’을 거론하며, 계파 근절과 국회의원 책무에 ‘올인’하겠다고 다짐했다.
지난 1997년 15대 대선을 앞두고 큰 반향을 일으켰던 동교동계 가신 7인의 ‘용퇴 선언’과 같은 일이, 2022년 국민의힘에서 일어난 셈이다.
실제 장 의원은 “최근 당의 혼란 상에 대해 여당 중진의원으로서, 인수위 시절, 당선인 비서실장을 지낸 사람으로서 무한 책임을 느낀다”고 했다.
이어 “저는 이제 지역구 의원으로서의 책무와 상임위 활동에만 전념하겠다”며 “계파활동으로 비춰질 수 있는 모임이나 활동 또한 일절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장 의원은 “앞으로도 윤석열 정부에서 어떠한 임명직 공직을 맡지 않겠다”며 “지금까지 언론이나 정치권 주변에서 저에 대해 사실과 다르게 말하거나, 과도하게 부풀려져 알려진 것이 많이 있지만 모든 것이 저의 부덕”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장 의원은 “당이 갈등을 최소화하고 빨리 정상화됨으로서 윤석열 정부를 성공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1997년 9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계 가신 그룹으로 분류되는 권노갑·한화갑·남궁진·최재승·설훈·윤철상 등 7인은 대선을 앞두고 이른바 ‘용퇴 선언’을 했다.
김 전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면 집권 기간 내내 청와대와 행정부 임명직에 들어가지 않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한 것.
실제 이들 7명은 김대중 정부에서 이 원칙을 지켜 청와대, 행정부, 공공기관, 공기업 등 대통령 임명직에 들어가지 않고, 국회의원 선거에만 출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