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동 의원 "대안교육 범국가차원서 이뤄져야"

대안학교 현황 및 발전방안 모색 위해 정책포럼 개최

2011-10-17     이재용

대전시의회 교육위원회 최진동 의원은 대안학교 현황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17일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최진동 의원은 “어느 때부터 학업중도 탈락자가 많이 나타나 안타깝고 우려되는 현상”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중학교와 같은 의무교육기관에서는 대안교육 프로그램이 범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전제하고, “학업 중도탈락자에 대한 직업교육이나 산업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건부 前 대전시교육위원회 부의장은 “대안교육의 나아갈 방향과 대전시 대안학교의 설립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대한학교 교직원들의 근무여건 개선, 대안학교 특수성 및 자율성 보장을 위한 행정적 규제 간섭 최소화 등 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자에 나선 김문구 대전시교육청 장학사는 대안학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설명하고 “미인가 대안학교 운영자금 부족, 과도한 학비요구, 특권층교육시설 등”예견되는 문제점을 설명했으며 김성수 대전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는 대전 교육연수원의 심성계발과정 및 자기개발과정을 설명하고“숙련된 전문상담요원 부족, 과정에 대한 일부 학부모 및 교사들의 인식등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김문원 공주대학교 교수는 덴마크의 대안교육 교육시스템을 설명하고 “정부의 대안교육에 대한 적극적인지원, 독자적인 학교 평가,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학교 만들기 등” 대안 교육제도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