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 이전 후보지, 정부대전청사 확실시

대전시-방사청 15일 기관 이전 관련 업무협약 체결 이전 부지 및 구체적 시기 발표 예상 방사청 직원들, 정주여건·자녀 학군·교육 인프라에 정부청사 선호

2022-09-14     김용우 기자
방위사업청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후보지로 정부대전청사가 낙점됐다. 이전 부지가 빠르게 확정되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인 방위사업청 이전 작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14일 본지 취재 결과, 대전시와 방사청은 지난 7월 말 이전 후보지로 거론됐던 정부대전청사 유휴부지와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옛 쌍용연구소 등 3곳에 대한 현장실사 이후 종합적인 검토 끝에 이같은 결론을 냈다. 

이에 대한 후속 절차로 이장우 대전시장과 엄동환 방위사업청장, 서철모 대전 서구청장은 오는 15일 오전 대전시청에서 방사청 대전 이전 관련 업무협약식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서구에 있는 정부대전청사를 방사청 이전 부지로 확정하고 구체적인 이전 시기 등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대전시는 방사청에 정부대전청사를 이전 부지로 적극 제안해 왔다. 청사 내 행정기관이 이전할 수 있는 유휴부지가 많은 데다, 기본 설계 이후 바로 착공이 가능해 가장 신속하게 이전할 수 있어서다.

당초 방사청이 눈독을 들였던 곳은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였다. 방산혁신클러스터와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는 최적지라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방사청 직원들의 여론은 정반대였다.

직원 대다수는 이왕 대전 입성이 확정됐으니 자녀 교육, 주거 및 편의시설 등 주변 생활 인프라를 모두 갖춘 둔산권을 선호했다는 후문이다. 둔산권에 위치한 정부청사가 대전 정착에도 유리할 것으로 본 것이다. 청사 경호나 보안 시스템이 구축된 점도 플러스 요인이 됐다.

또 다른 후보지였던 유성구 옛 쌍용연구소 부지의 경우 원자력 관련 시설이 인접해 있고 방사성 물질 방출사고 발생 우려 등으로 일부 방사청 직원들 사이에서 부정적 여론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방위사업청을 대전 이전 공공기관으로 확정·고시했다. 내년에는 선발대 300여 명이 월평동 마사회 건물로 이동, 이후 27년까지 이전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전 총비용은 2800억 원으로 추산되며 이전 준비 예산 210억 원은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편성된 상태다.

방위사업청은 연간 예산이 약 17조 원, 근무 인원은 1600여 명에 달해 초대형 청 단위 기관으로 꼽힌다. 지난해 대전에서 세종으로 떠난 중소벤처기업부의 올해 예산(18조 원)과 맞먹는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