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과장 발표에 경실련 구설수
대표적인 시민단체인 경실련이 부실하고 과장된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고 기자회견을 열어 구설에 오르고 있다.
경실련은 지난 5일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대상자 중 강남권 주택 소유자 438명의 재산신고 누락액 및 재산 증식 현황 추정 결과'를 발표한다며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누락신고액 상위 10위와 재산증식 상위 10위의 고위공직자 이름을 공개한다는 설명도 덧붙여 많은 관심을 끌었던 회견이었다.
하지만 이날 발표한 내용은 총체적인 부실이었고 경실련은 이날 오전 10시 30분에 발표한 내용을 밤 늦은 시각까지 수정을 거듭했다.
실제로 경실련의 최종정정보도자료와 원래 발표한 기자회견 보도자료를 비교하면 재산신고 누락 총액과 1인당 평균 누락액, 누락신고액 등 핵심내용이 모두 바뀌었다. 특히 누락액 상위 10명의 명단 중 1위를 제외하고는 순위가 모두 바뀌기도 했다.
이날 밤 9시쯤 경실련으로부터 정정보도 요청 전화를 받았다는 한 기자는 "자료의 단순 수치가 아니라 발표 순위가 통째로 바뀌었다"며 "사실상 기자회견장에서 나온 내용 중 정확한 것은 발표단체 뿐이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경실련의 이름을 믿고 발표내용을 주요 뉴스로 보도했던 언론사들 역시 시민들에게 오보를 전달하게 됐다.
뿐만 아니라 경실련의 이날 기자회견 제목 역시 내용과는 상당히 달랐다.
경실련의 발표 내용은 제도적으로 고위공직자들의 재산신고액이 시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액이 날 수 밖에 없는 만큼 제도 보완을 촉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날 경실련이 앞세운 기자회견의 제목만 보면 마치 고위공직자들이 고의로 재산신고를 누락한 것처럼 이해됐다.
결국 경실련이 회견 직전 '고위 공직자들의 결과적 재산신고 누락액'으로 제목을 고치기는 했으나 기자회견장에 도착해 앞뒤사정을 파악한 기자들은 제목포장이 너무 심했다며 경실련의 상술(?)에 혀를 내둘렀다.
CBS사회부 육덕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