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신규 유산균 발굴...장 발달 촉진 효과 검증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오가노이드로 효과를 검증한 신규 유산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박두상 박사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인간 장(腸)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모델을 이용해 장 발달 촉진과 염증성 장 질환 보호 효과를 검증한 신규 유산균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리모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이하 루테리)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위와 장을 비롯한 다양한 자연환경에서 발견되는 유산균으로 다른 유산균에 비해 질병과 감염 예방에 효과가 뛰어나며 항균물질인 루테린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장 오가노이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유산균 효능 평가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장 오가노이드는 기능 차원에서 인간의 장을 정확히 모사할 수 있으며, 태아의 미성숙 장과 비슷한 특성이 있어 초기 장 발달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신규 루테리 유산균을 발굴하고, 인간 장 오가노이드 플랫폼을 이용해 유산균의 장 발달 효과와 유산균 대사산물의 염증성 장 질환에 대한 보호 효능을 규명했다.
연구팀이 발굴한 루테리 균주는 다른 균주들에 비해 장 오가노이드의 성숙과 발달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내산성을 갖고 있어 장까지 살아서 갈 수 있으며 장 정착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신규 루테리에서 유래된 대사산물은 장 줄기세포를 증식시키고 염증성 장 질환과 대장염에 대한 보호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효능을 마우스 동물모델 실험에서도 확인하며 향후 제품화에 대한 가능성을 높였다.
손미영 박사는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장 오가노이드 플랫폼이 인체 유용 미생물 발굴에도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새롭게 발굴된 기능성 루테리 유산균이 유아의 장 발달과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