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이태원 참사' 사고 수습 행정력 집중
유가족 협의 후 합동분향소 설치 추진 국가애도기간...시 주관 행사 가급적 취소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시가 200여 명의 사상자를 낸 이태원 압사 사고와 관련 사상자 지원 및 사고 수습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시는 30일 오후 이택구 행정부시장 주재로 이태원 사고 유관부서와 자치구와 합동으로 대책회의를 열고 사고 수습 조치에 돌입했다.
이번 참사의 국가 애도 기간인 11월 5일까지 시가 주관하는 행사를 가급적 취소하고, 취소가 어려운 행사는 축소 또는 경건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콘서트, 스포츠 행사 등 민간 주관의 대규모 행사가 필요한 경우는 위험요인에 대한 사전 안전점검 및 교통안전 조치를 강화하고 최대한 경건하게 진행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태원 사고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합동분향소 설치는 유가족분들의 의견을 수렴해 설치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택구 부시장은 “서울 이태원 사고로 희생되신 분들게 깊은 애도를 표하고, 부상당한 분들의 조속한 쾌유를 기원한다”며 “사고수습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 부시장은 “시 산하 모든 기관에 공직기강 강화 및 복무관리에 철저를 기해 달라”고도 당부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이날 오전 자신의 SNS를 통해 "희생자 중에는 대전시민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시장으로서 깊은 슬픔을 느낀다"며 "참사로 희생되신 분들께 깊은 애도를 표하고 부상을 당하신 분들의 쾌유를 기원한다. 사고 수습을 위해 대전시도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대전시는 30일 오전 연락이 두절 된 실종자 위치 파악 및 안내를 위해 실종자접수센터(119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긴급 안내 문자를 발송했다.
실종자접수센터는 30일 18시 기준 100건의 신고를 접수해 서울시와 한남동 실종자접수센터 등으로 연계했다. 이중 위치추적을 요청받은 5건에 대해서는 핸드폰 위치추적을 통해 신변 안전을 확인했다.
30일 18시 기준 서울 이태원 사고 관련 대전시민 사망자는 30대 남성 1명, 20대 여성 3명 등 총 4명이며, 부상자는 20대 여성 1명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