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문제로 지역정치권 정치력 부재 도마위
어중간한 입장으로 각종 현안서 지역정치권 언급조차 되지 않아
2011-11-28 이재용
본지가 지난 7월 19일 ‘세종시 제19대 총선 못 치룰 듯’이라는 보도를 통해 예견했듯이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 25일 천안 1석 증가, 대전시·세종시 배제 내용의 최종보고서를 국회의장에게 전달했다.
더욱이 지난 7월 세종시 선거구 배제가 예견되는 상황에서도 지역정치권은 소극적 행동에 나서면서 공직선거법 개정안 제출 등을 알리는 보도자료를 통해 언론 홍보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만약 입법을 통한 선거구 재편밖에 방법이 없었다면 현실적으로 의원입법이 의안의 타당성과 상관 없이 발의자의 정치적 영향력이나 당리당략에 따라 국회를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해 일찌감치 의원들이 정치력을 총 동원해 법안을 처리에 발벗고 나섰어야 했다는 것.
하지만, 지역정치권은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최종보고서를 거의 마무리한 지난 16일이 돼서야 '대전·충남 선거구 증설을 위한 정치권 협의회'를 구성, 활동에 나서 책임 회피를 위한 자기 합리화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총선을 앞두고 자기 선거구 관리에 바뻐 지역정치권은 정작 단식, 몸싸움 등 적극적인 행동에는 나서지 않아 중앙 정치권에서는 힘도 쓰지 못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사안이 제대로 처리 안될 경우 남 탓만 하는 지역정치권의 반복된 행태는 시민들에게 구태 정치의 단면으로 보여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선거구 문제를 떠나 어중간한 입장으로 인해 언제나 각종 현안 논의 과정에서 중앙 언론이나 중앙 정치에서 언급조차 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스스로 파악하지 못할 경우 지역 발전에 대한 여망을 갖고 사는 지역민들 역시 내년 총선에서 등을 돌릴 것으로 전망돼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