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비 지원 ‘사립만 5대5 분담’...공립은 교육청 따로 지원

17일 대전시-교육청 교육행정협의회 어린이집은 전액 시비로...무상급식 단가 9.6% 인상

2022-11-17     이성현 기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전시와 시교육청 간 비율 및 형평성 문제 등으로 논의를 거듭해온 유아교육비 지원이 사립유치원만 5대5 비율로 지원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당초 교육청이 요구해왔던 공립유치원 포함 문제는 교육청이 따로 지원키로 했다.

대전시-대전시교육청

17일 대전시와 시교육청은 이장우 대전시장과 설동호 대전시교육감, 박주화·이한영 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교육행정협의회를 열고 유아교육비 지원 문제를 비롯한 15개의 안건을 논의했다.

가장 큰 쟁점 중 하나였던 유아교육비 지원에 대한 안건은 만3~5세 사립유치원 재원 유아 1만4800명을 대상으로 월 13만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분담 비율은 시와 교육청 각 50%씩 연간 96억2000만원을 부담한다.

그간 공립유치원 원아 학부모와 교육단체들은 “사립에만 지원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반발해 온 것에 대해 교육청은 공립유치원 원아 3302명에게도 동일하게 월 13만원씩 연간 51억5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청에서 유치원으로 지원금을 지급하는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며 학부모 부담경비가 경감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어린이집의 경우 제도적 차이가 있다는 현실을 감안해 8518명 원아에 대해 월 9만원을 전액 시 예산으로 지원키로 했다. 소요 예산은 76억7000만원으로 추정된다.

왼쪽부터

다른 중요 안건이었던 무상급식비 인상 건은 올해보다 9.6% 인상된 수준에서 협의가 이뤄졌다. 이는 초등학교 300원, 중학교 500원, 고등학교 400원 인상 수준이다.

내년도 급식단가는 초등학교 3800원, 중학교 4800원, 고등학교 5000원으로 총사업비는 1283억4000만원이며 시와 교육청이 50%씩 분담한다.

또 대전체육중고 복합체육관 건립사업비 지원에도 시가 총사업비의 30%인 72억 원을 3년간 예산 지원하기로 하는 등 열악한 체육시설 인프라 구축에도 대전시가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이날 이장우 시장은 돌봄교실 등 교육복지 예산을 교육청이 5억원을 요청했지만 시에서 2억5000만원으로 협의한 것에 대해 “교육복지 문제는 맞벌이 부모들에게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며 수정 반영할 것을 지시했다.

이밖에 이날 회의에서는 ▲청소년 자유공간 설치 ▲자살예방 및 사후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의무교육단계 미취학·학업중단학생 학습지원 시범사업 ▲2023년도 법정전입금 세출예산 편성 등 총 14건의 안건에 대해 합의했다.

이장우 시장은“유아 무상교육 실현으로 차별없는 교육을 받을 권리, 보편적 교육복지를 누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더 나은 교육환경 조성으로 대전시의 미래를 이끄는 인재양성에 교육청과 뜻을 모아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설동호 교육감은 “양 기관 간 소통과 협력으로 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창의적인 인재 육성,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을 통한 교육복지 실현으로 학생과 시민이 행복한 대전교육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