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수계 아연금속 성능 향상 구조체 소개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친환경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로 주목받는 수계 아연금속 이차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체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김동완 교수 연구팀이 아연금속 이차전지의 성능을 높이고 수명 절감의 다양한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이중 계면 호스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리튬금속 전지와 달리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아연금속 이차전지는 수계 이차전지 중에서도 안정성과 경제성 등에서 높은 이론 용량을 가지는 친환경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아연금속 전지의 음극으로 사용되는 상용 아연금속의 수지상 성장, 낮은 전기화학적 활성 사이트 부재, 수계 전해질과의 부반응 등 고질적인 문제들로 인해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용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아연금속 이차전지의 고질적인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기 위해 넓은 비표면적, 아연 친화성, 적절한 전기전도성 등을 충족하면서도 대량합성이 가능한 재료를 탐색해 기능성 탄소와 아연 산화막 이중 계면의 시너지 작용을 이용한 아연금속 이중 계면 호스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기능성 탄소층은 높은 아연 친화성과 넓은 비표면적을 통해 아연금속을 수지상 성장 없이 균일하게 증착할 수 있고, 탄소의 소수성**은 전해질에 의한 부반응을 억제했다.
또 아연금속의 저온 열처리로부터 형성된 아연 산화막은 탄소와 상반된 친수성 성질로 인해 수계 전해질이 아연 산화막 계면을 따라 탄소층에 스며들게 했고 이를 통해 소수성인 탄소층 내부까지 아연금속이 효과적으로 증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 관계자는 “향후 산업화 규모에서도 구현될 수 있는 아연금속 음극 연구의 진행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