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공유재산 관리 '구멍'
동구 가양동 시유지 불법 건축물 장기간 방치...쓰레기장 전락 매각, 주차장 및 시민 문화공간 조성 등 대책 마련 시급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시가 소유한 공유재산이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27일 시민 제보에 따르면 동구 가양동의 한 시유지 불법 건축물이 장기간 방치되면서 쓰레기장으로 전락하고 있다.
도로변에 위치한 시유지 앞에 쓰레기들이 마구잡이로 버려져 있어 길을 지나는 시민들의 미간을 찌뿌리게 하고 있는 것.
공유재산은 재정수입 확보, 시민 복지 증진 등에 쓰일 소중한 자산임에도 오랜 기간 방치되는 사례가 많아 매각, 주차장 및 시민 문화공간 조성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시유지 인근에 거주하는 김 모 씨는 "시유지 인근에는 동대전중학교와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가, 바로 옆에는 공동주택이 있다"며 "도로변이라 자칫 담뱃불로 인한 대형화재가 이어질까 불안하다. 정비와 관리가 필요하지 않나 싶다"고 토로했다.
특히 해당 시유지는 불법 건축물이 버젓이 수십 년간 존치돼 왔지만 시는 변상금 부과 외에는 뚜렷한 대책이나 개선 방향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매년 공유재산 전수조사를 시행하고 있고, 무단점유 등에 대해서는 변상금 부과 등 관련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시민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민원들에 대해서는 최대한 빠르게 개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 안팎에선 관련 부서의 인력 부족으로 공유재산 운영·관리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시 재산관리팀은 1월 조직개편을 통해 토지정보과에서 회계과로 소관부서가 변경됐다. 재산관리팀 정원은 팀장을 포함해 모두 4명이다.
한편 이날 본지 취재가 시작되자 동구청은 시유지에 방치된 쓰레기를 정비, 땜질식 대응을 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