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충남지사 "특별자치도 만들어 충청권 4개 시도 경제권, 행정권을 묶겠다"
14일 YTN 라디오 출연 "특별자치도 실현위해 준비중" 공공기관 이전 통해 내포 충남 중심 만들 것
[충청뉴스 김정식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14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특별자치도를 만들어 충청권 4개 시도의 경제권, 행정권을 묶어 메가시티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제가 충남지사를 하다 보니 정말 필요성을 느꼈다. 세종은 인구가 40만이 좀 넘는데 특별자치시다”며 “40만 가지고 광역 자치 행위를 할 수 있겠나? 100만 150만 가지고도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충청권을 다 합치면 560만 정도가 되는데 앞으로 호남, 전남, 광주, 전북을 합쳐야 하고, 연안권을 합쳐야 한다”며 “미국의 주가 가지고 있는 형태로 중앙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하고 국가 안보 조정 능력만 가지고 가는 것이 제대로 된 지방자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의원 시절부터 생각했는데, 도정을 해보니까 더 절실하게 느꼈다”며 “특별자치도 실현을 위해 초광역권의 사업 발굴이라던가 협의할 수 있는 규약이라던가 통합의회 같은 준비를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추진하는 충청권 서해고속도로에 대해 “민자 추진하려고 4개 시도가 방향에 대해선 합의했다”며 “대전과 세종, 청주 순환 고속도로 놓는다. 300만 가까이 인구가 있는데 거기에 보령까지 직선으로 서해고속도로 놓게 되면 바다가 없는 지역에 바다를 안겨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산업과 물류가 도움 되고 메가시티를 가게 되면 1시간에서 2시간 내 생활권이 된다”며 “그러려면 먼저 도로, 철도 인프라 구축이 우선이다. 그다음엔 경제 통합이고 그리고 행정 통합되는 이런 형태로 가야 한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혁신도시가 2년 전 늦게 지정됐는데 공공기관 성과가 하나도 없다”며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내포를 중심으로 충남 발전을 견인할 것”이라고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부분에 대해 말했다.
이와 더불어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라며 “탈석탄, 에너지 산업 구조를 바꿔 수소 최첨단 산업으로 재편하겠다”는 생각도 밝혔다. 탄소중립으로 가는 과정에 필요한 연구소, 기능들을 충남에 유치하겠다는 것도 놓치지 않았다.
그는 “석탄화력발전소가 폐지만 답이 아니고 일자리 감소, 지역경제 위축하는 부분들을 보완해야 한다”며 “석탄화력발전소가 있는 4개 지역에 50조 가까이 기금을 만들고 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도정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소회를 밝혔다.
그는 “(도지사)취임 6개월 동안 도정을 역동적으로 열정적이고 파워풀한 방향으로 바꾸는 과정이었다”라며 “많은 부분에서 변화를 이뤄냈고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성과로 ▲정부예산 9조 원대 확보 ▲아산 경찰종합병원 유치 ▲내포 종합병원 임기 내 개원 추진 ▲국내외 기업 44개 유치 ▲아산만 일대 베이밸리메가시티를 위한 경기도와 협약 ▲탄소중립 경제특별도 선포 ▲2027년 유니버시아대회 충청권 개최를 뽑은 것.
끝으로 김태흠 지사는 “외국 나가서 기업들 유치하는 과정들, 외국 지도자들 만나면서 느끼는 것은 대한민국 선진국 됐다”며 “이끌어가는 우리가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국민께서 함께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우뚝 설 수 있는 후손들에게 많은 유산 남길 수 있게 함께 하자”고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