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군 남이면 이장 수해복구사업 특혜 논란
이장 친인척과 지역 농협 간부의 땅만 집중 복구…특혜의혹 제기
충남 금산군 남이면 마을 주민들이 지난해 수해복구 사업이 이장 친인척과 지역 농협 간부의 땅에만 집중적으로 이뤄진 것과 관련해 주민들이 특혜의혹을 제기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석동리 마을주민 서건석씨는 "수해복구 공사를 아래부터 시작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아래라도 튼실하게 작업이 됐어야 했다"며 "하지만 특정 지역 두군데 사이의 수해 지역은 천의 돌을 끌어다가 하단에 밀어놓거나 도로변의 흙을 퍼와 파인 부분을 메꿔놓는 등 부실하게 진행돼 비가 더 올 경우 피해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성토했다.
실제로 특혜의혹을 받고 있는 수해복구 현장은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음에도 많은 돌을 사용해 빈틈없이 벽을 만드는 등 매우 깔끔하게 공사가 완료된 반면 특혜의혹 지점 두군데 사이의 수해피해 지역은 바위를 바닥에 끌어다 놓거나 흙을 살짝 덮어놓은 모습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김성엽 이장은 "특정 부분을 공사설계자에게 지시한적은 없다"며 "마을 이장으로서 공사진행상황을 관리감독 할뿐이지, 직접 어느부분을 공사해달라고 말할 이유가 없다"고 엇갈린 진술을 내놓았다. 하지만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설계 직원을 만난 것은 사실"이라고 실토했다.
김 이장은 "외지에서 살다 온 사람들의 모략"이라면서 "마을 총회와 저를 불신임하겠다는 마을 주민 70%의 연명서도 연세 있는 어르신들이 무슨 내용인지 모르고 동의한 것으로 생각돼 그 부분에 동의 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같이 논란이 확산되면서 마을주민 70%의 이장 사퇴 요구 연명서가 김상운 남이면 면장에 전달됐다. 김 면장은 "이번공사가 내가 볼때도 오해를 살만한 소지가 다분했다"며 "이 불화는 단순히 수해 복구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동안 다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주민들의 불만이 쌓여온 듯 하다"고 그동안 이외의 추가적인 문제들이 많았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주민이 직접 선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해서는 주민소환과 같은 법적인 규정이 있지만 정작 31집 정도가 사는 작은 마을에 대해서는 제도가 정비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대책 없이 피해를 그대로 입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지방자치 22년 역사의 오점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