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방경찰청, 지능,경제 중요사범 추적수사 전담 운영
매월 경찰서별 대상자 선정 지방청 보고 운영
대전지방경찰청(청장 이상원)은, ‘12년 3월 1일부터 지능,경제범죄 중요사범에 대한 추적수사팀을 지방청 수사2계(수사관 11명)에 신설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청에 따르면 "추적수사팀은 기존 경찰서에서 접수 처리되었던 피해자가 다수 발생된 물품사기(일명 탕치기) 수법 범죄와 지능·경제사범 중 중요수배자 검거를 전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능,경제사범 추적수사팀'을 운영하여 광역화된 지능,경제범죄에 대하여 현장수사 능력을 강화하고 기동력있는 수사 활동으로 범인 검거뿐 아니라 피해품 회수 등 피해 회복에도 역점을 두는 맞춤형 치안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물품사기는 바지사장을 내세워 유통회사를 차린 후 농산물 등을 납품받아 즉시 되팔고 일정시점에 납품대금을 편취하고 도주하는 수법으로 피해자는 주로 대전지역 외 타 지역 소상공인들로 업자들이 직접 납품하지 못할 지역적 특성을 악용하는 특성이 있다.
대전권 ‘11년 물품사기 접수 건수는 총 7건으로 검거 5명, 미검자 13명으로 검거율이 27.7%에 그쳐 사건 발생 초기 수사인력을 집중 광역수사 시스템을 운영하여야 함에도 경찰서별 단독 수사로 실질적인 피의자를 검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지능·경제사범 중 지명수배되어 수사가 중지된 사안에 대해서도 피해자가 다수이고 고액의 피해사건으로 수사력이 집중되는 점을 감안, 소액 피해 사건의 피해자라도 피해회복이 필요하고 피의자 조기 검거로 피해가 추가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중요 수배자를 선정 검거를 할 예정이다.
※ 1차 중요 수배자 4명 선정, 매월 경찰서별 대상자 선정 지방청 보고 운영
대전경찰은 기존 소극적 수사로 피해품 회수 등 피해회복에 미온적으로 대처했거나 기소중지된 사건은 수사가 종결되었다는 잘못된 관행을 과감히 개선, 국민에게 공감을 받을 수 있는 수사로 만족도 향상을 극대화하고 지방청으로 업무를 이관하여 경찰서 업무를 경감시켜, 신명나게 일하는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여 자연적으로 대민 친절 등 업무 집중도 향상으로 유도할 방침이다.
수사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 광역화된 범죄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사회적 약자인 서민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대전지역 실정에 맞는 맟춤형 경찰활동을 전개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