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교육청, 2023년도 다문화 교육정책 발표

- 학급 단위 맞춤형 교사 지원, 다문화교육 정책학교‧한국어학급 운영 - 모든 유초중고 다문화 이해교육 연간 2시간 이상 편성, 부모나라 방문 프로젝트 - 다문화교육지원센터 중심 네트워크 구축, 지역 유관기관과 협력체계

2023-05-23     최형순 기자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우리 사회는 국제 결혼, 외국인 가정 자녀 등이 증가하면서 학생들의 언어, 인종, 문화적 배경 등이 더욱 다양해졌다.

이로 인해 학교 현장도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전국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최근 5년간 매년 1만 명 이상이 증가하여 전체 학생의 3.19%인 16만 8천 명을 초과하였다.

세종시 다문화가정 학생 수도 전체 학생의 약 1.4%인 815명(‘22년 4월 기준)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였다.* `13년 150명, `14년 204명… `20년 741명, `21년 808명, `22년 815명

임전수 세종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은 23일 브리핑을 통해 2023년도 다문화 교육정책을 발표했다.

세종시교육청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통합 성장을 위한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는 동시에, 교육공동체가 세계시민으로서 문화 다양성을 존중하고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발전 사회를 만들기 위한 세계시민 교육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포용과 공존의 문화 다양성을 갖춘 세계시민‘ 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3대 정책 방향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3대 정책 추진 과제은 "▲학급 단위 맞춤형 교사 지원, 다문화교육 정책학교‧한국어학급 운영 ▲모든 유초중고 다문화 이해교육 연간 2시간 이상 편성, 부모나라 방문 프로젝트 ▲다문화교육지원센터 중심 네트워크 구축, 지역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임 국장은 "미래 다문화사회를 대비하여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문화 다양성이 자연스럽게 인정되는 공동체 사회를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 구성원 모두의 노력이 필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교육청은 포용과 공존의 문화 다양성을 갖춘 세계시민으로의 다문화교육 정책 추진하고 세종의 모든 아이들이 편견없이 서로를 존중하며, 모두가 특별해지는 세종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다문화 학생의 통합 성장을 위한 학급 단위 교사지원 맞춤형 교육(26개교, 70학급, 83명)을 통해 진로상담, 문화체험, 또래상담, 한국어, 기초학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담임교사와 1:1 또는 1:2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방과 후에 학생과 마을강사 간 1:1 맞춤형 교육으로 한국어 120명, 이중언어 41명, 기초학력 76명, 상담 13명을 지원하고,

중도 입국 학생의 수업 중 언어소통을 위한 통번역 서비스도 세종시 가족센터와 협력하여 운영한다.

다문화교육 정책학교(가온유, 올망유, 가득초, 두루초), 한국어학급(조치원신봉초, 전의초), 이중언어 운영학교(조치원교동초, 베트남어), 징검다리학교(연봉초) 등을 운영해 다문화교육을 내실화하고,

신입생 다문화 학부모를 위한 도움자료를 제작하여 보급하고, 세종시 가족센터와 연계하여 학부모교육도 지원한다.

모든 유·초중고 정규 교육과정에 다문화 이해교육을 연간 2시간 이상 편성하여 운영하고, 다문화교육 마을교사 인력풀을 활용하여 체험 중심의 다문화 이해교육(350학급)과 주제 중심의 다문화 시민교육(450학급)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중고등학교 다문화학생의 진로·적성을 발견하고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학습동기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대학생 멘토링 진로체험 프로그램‘ 실시하며,

오는 7월 중순에는 세종시 다문화학생 중 최대 분포나라인 베트남을 방문하는 ’다문화학생 부모나라 방문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다문화 대상 국가와의 교사 교류 사업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교육활동을 교류하는 노력도 하고,

또한, 세종 교육공동체가 세계시민으로서 문화 다양성, 세계 평화, 인권과 연계한 실천하는 세계시민 감수성 제고와 세계시민교육 역량을 강화한다.

세계시민성 함양과 세계시민교육 확대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선도교사(2015년~150여명/2023년 11명)를 양성하고, 모든 교원들이 다문화 교육 연수를 이수할 수 있도록 원격 연수와 집합 연수를 지원한다.

특히, 유네스코 회원교(7교) 운영 지원, 유네스코 청소년 평화프로젝트(2교)를 운영하고, 더 나아가 교사 대상 평화·통일 역량 강화 연수, 학생 대상 평화통일 학생동아리 현장체험 학습, 학생회연합회 ‘한울’ 리더십 캠프 등을 지원한다.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다문화 교육사업,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학교 다문화교육 업무 담당자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다문화학생 상담, 이중언어 강사 지원, 통번역 서비스, 다문화가정 학부모 교육 등 지원을 위해 세종특별자치시가족센터와 협력한다.

이와 함께 촘촘한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세종시청, 세종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남세종종합청소년센터, 세종남부경찰서 등 유관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인적‧물적 네트워크를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