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2045년에 탄소 배출 제로화(0)만든다
정부 계획보다 5년 앞당겨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안재수 기후환경국장은 “충남도는 연말까지 정부 계획보다 5년 앞당겨 2045 탄소중립 실현을 반드시 이행할 수 있도록 기본계획 수립과 실천과제 발굴·추진에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는 최종안 확정 전 지역사회와 도민이 함께 하는 일상생활 속 탄소중립 이행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도록 범도민 공감대 확산 캠페인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안 국장은 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2045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최종안 수립과 탄소중립 실천 도민 공감대 확산 캠페인 전개 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도는 지난 4월 정부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지난해 마련한 2045 기본계획과 국가계획의 정합성을 높이고, 탄소중립 경제 특별도로서 도의 특화전략이 반영된 최종안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기본계획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이하 NDC)와 연계해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 2030년까지 40%→2035년까지 50%→2045년까지 100%를 목표로 한다.
올해 국가계획과 연계해서 과학적이고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정책과제를 추가 발굴하고, 기존과제를 보완할 계획이다.
안 국장은 “도민과 함께 하는 일상생활 속 탄소중립의 첫걸음은 탈 플라스틱”이라며 “코로나19 장기화 등 포장·배달 문화가 확산되면서 폐기물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도는 1회용품 없는 깨끗한 공공청사 조성을 위해 선도적으로 탈 플라스틱 전환을 추진 중이고, 민간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라고도 말했다.
이어 “오는 18일까지 계도기간을 거쳐 19일부터 도 청사 내 1회용컵 반입·휴대 전면금지, 사무실·회의·행사 시 1회용품 전면 사용금지 및 다회용품 사용을 의무화하고, 도 산하 공공기관 및 전 시군에 확대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안 국장은 “민선 8기의 충남 환경정책 추진을 통해 도민들의 건강권을 사수하고, 도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환경분야 성과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3월 당진시와 예산군에서 시작한 ’시군 릴레이 탄소중립 실천 확산대회‘는 지역별 특색에 맞는 탄소중립 실천과제를 발굴하고, 다양한 캠페인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10월까지 15개 시군 모두 완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