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광반도체 소자 집적도 100배 이상 높여
2023-06-19 이성현 기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광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100배 이상 높이는데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상식 교수 연구팀이 광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100배 이상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광 결합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하나의 칩당 구성할 수 있는 소자 수의 정도를 집적도(集積度)라고 한다. 이 집적도가 높을수록 많은 연산을 할 수 있고 공정 단가 또한 낮춰준다.
하지만 광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높이기는 매우 어려운데, 이는 빛의 파동성으로 인해 근접한 소자 사이에서 광자 간에 혼선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특정 편광에서만 빛의 혼선을 줄여줄 수 있던 기존 연구에 비해 새로운 광 결합 메커니즘을 발견해 불가능이라 여겨졌던 편광 조건에서도 집적도를 높이는 방법을 개발했다.
김상식 교수는 “이번 연구가 흥미로운 점은 기존에는 오히려 빛의 혼선을 크게 해줄 거라고 여겨졌던 누설파를 통해 역설적으로 혼선을 없애준 점”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누설파를 이용한 광 결합 방법을 응용한다면 더욱 작고 노이즈가 적은 다양한 광반도체 소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