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회장을 향한 검찰의 '세가지 칼'
24일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된 정몽구 현대차 회장에 대한 검찰의 압박이 예상 수위를 훨씬 웃돌고 있다.
'현대차 비리 사건'을 수사중인 대검 중수부는 먼저 지난 주말 현대모비스, 기아, 위아 자금담당 임직원들을 잇따라 소환 조사했다.
검찰이 현대차 압수 수색과정에서 이들 3개 회사도 비자금 조성에 연루됐다는 단서를 확보했기 때문.
지금까지 현대차는 본사와 글로비스 등을 통해 수백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검찰은 현대차의 비자금이 이보다 훨씬 더 큰 규모라고 못박은 것이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이들 3개 회사의 직접적인 비자금 조성 단서가 현대차 압수수색 과정에서 나왔다"며 "비자금 총액은 모두 합쳐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비자금 수사 전면 확대로 봐야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채 기획관은 "경제를 생각해 압수수색 등 수사를 전면 확대하지는 않았으며 확보된 단서만을 토대로 수사를 벌였다"고 밝혔다.
이처럼 현대차의 비자금 규모가 당초 알려진 것보다 커지면서 정몽구 회장의 '운신의 폭'이 그만큼 좁아질 수 밖에 없는 형국이 된 셈이다.
또한 검찰은 정회장 소환과 때를 맞춰 현대차 김동진 부회장과 채양기 기획총괄 본부장을 재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김 부회장 등에 대한 소환은 정회장 소환과 연관성이 있으며 단순히 대질을 위해 부른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회장이 관련 혐의를 극구 부인할 경우 검찰은 이미 관련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진 김 부회장 등과 정회장을 대질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이와함께 검찰은 정회장의 신병처리에 관해서도 강력한 형사처벌을 예고하는 발언을 이어나갔다.
'정회장이 구속될 경우 경영권 공백이 생길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질문'에 대해 채동욱 수사기획관은 "비자금 조성이나 기업 비리 관련 등은 회사 입장에서는 굉장히 중요한 일인데 회장이 모른다면(정회장이) 없어도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최고 책임자가 그룹 내부 사정을소상히 알고 있는게 당연한데 (혐의를 인정하는) 진술이 나오지 않는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것"이라고 강조했다.
CBS사회부 최철 기자 ironchoi@c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