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 김선정 교수, '분절적 의료' 문제점 증명

美 ‘Academy Health’서 주제발표

2023-07-04     박동혁 기자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순천향대학교는 보건행정경영학과 김선정 교수가 지난달 23~27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Academy Health’에서 분절적 의료의 문제점을 제기했다고 4일 밝혔다.

순천향대에 따르면 ‘Academy Health’는 전 세계 보건의료서비스 및 정책 연구 분야에서 가장 큰 규모와 권위를 자랑하는 전문학회다.

김선정 교수는 이번 ‘Academy Health’에 초청받아 ‘2023 Annual Meeting - Global Health Systems and Health Services Research’ 세션에서 ‘폐암 환자의 분절적 의료는 보건의료 지출 증가에 영향을 주는가?’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분절적 의료(Fragmented care)는 치료의 연속성이 유지되지 않은 채 환자가 여러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부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상을 말한다.

김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보건의료 진입장벽의 완화는 의료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부여하는 순기능이 있지만, 한편으로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한다. 특히 다양한 의료 선택권에 따른 분절적 의료는 암 환자를 포함한 국민의 의료비 증가, 의료쇼핑, 환자 쏠림 현상 등 여러 측면에서 보건의료 체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김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 건강보험 청구자료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중 13%가 분절적 의료를 경험했으며, 이는 장·단기적 관점 모두 보건 의료비 지출의 상승을 야기하고 다양한 암종의 환자군에서 사망 위험이 더 컸음을 밝혀냈다.

김 교수는 “지속해서 증가하게 될 노인인구, 암 환자를 고려해 현행 건강보험 체계의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며 “보건의료 정책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한 보건의료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환자들에 대한 전방위적 관리체계 구축이 향후 우리나라 건강보험, 보건의료 체계의 영속성을 추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기임을 인지해야 한다”며 “일회성 대책이 아닌, 정부와 관련 분야 전문가의 협의점 도출을 통해 장기적인 미래를 고려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