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호 시장 ’25년 4월 세종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
- 180만 방문 목표 경제효과 극대화 추진 - 기본구상 확정…주제‘가족과 함께하는 정원 속의 하루’ - 중앙공원에 주제정원 조성…전시·체험·휴식공간 마련 - 450억 투입…생산 유발 1,880억·고용 창출 2,000명 기대 - 1일 최대 4.5만 방문 대비 주차장 등 편의시설 확보 매진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단순히 도시가 녹지도 많고 정원을 잘 가꾸는 게 정원 도시가 아니다.
정원도시 박람회가 끝나고 나면 세종시가 명실상부한 도시로서 아름다움과 함께 녹지와 자연이 복원되는 그런 환경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2일 브리핑을 통해 "’25년 4월 세종국제정원도시박람회를 세종시에서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9월 C.I.B 국제정원도시 인증을 받아 대한민국 행정수도 그 이상의 미래전략수도 세종을 국내외에 홍보하고 세계적인 정원도시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람회 주제는 ‘가족과 함께하는, 정원 속의 하루’로 설정, 세대 간 단절, 인구감소 등의 문제를 ‘가족’과 ‘정원’이라는 핵심 키워드로 접근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방문객이 정원에서 일상을 함께하며 가족 가치를 재발견하고, 가족애와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우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와함께 “박람회 개최 시기와 기간은 세종시의 강수, 기온, 날씨 등의 기상 여건과 개화 시기, 유사 행사 개최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2025년 4월 11일부터 5월 25일까지 45일간으로 정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주 행사장은 중앙공원 일원이며, 호수공원, 이응다리, 옥상정원 등 신도심과 읍면 지역의 정원자원과 연계할 5개의 구역에는 공간별 테마에 맞는 시설을 배치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말했다.
박람회 개최에 소요되는 예산은 총 450억 원이며, 국비, 시비, 자체 수입으로 계획하고 있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의 소비지출항목별 유발계수에 의거, 박람회에 180만명이 방문할 경우 생산 유발효과는 약 1,88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약 760억 원, 고용창출효과는 약 2,000명으로 추정된다.
주말 1일 최대 10만 명 방문 시 주차 수요는 약 1만 3,700대로 추정하여 최대한 차량 진입을 억제하고, 외곽의 임시주차장으로 유도하여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박람회장 주변의 기존 10개 주차장(약 3,000면)을 활용하되,주 출입구에 임시주차장 1개소(3,000면)를 추가 조성하여 총 11개소 약 6,000면을 확보하고, 세종시 외곽에는 9개 방면에서 진출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6개 지역에 임시주차장 10,000면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