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슈퍼박테리아 잡는 강력한 항생제 소개

2023-08-02     이성현 기자
3차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슈퍼박테리아를 잡는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 서지원 교수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이성수 박사 공동연구팀이 다제내성균에 효과적이면서 독성을 낮춘 항균 치료제 유효물질을 발굴했다고 2일 밝혔다.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슈퍼박테리아 감염은 코로나바이러스처럼 전염속도가 빠르지는 않지만 한 번 감염되면 치명률은 훨씬 높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선 다제내성균에 의한 사망자가 2050년 연간 1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지난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와 맞먹는 수치다.

연구팀은 생명체 고유의 자기방어 면역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항균 펩타이드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먼저 세균의 세포막과 잘 결합하도록 디자인한 항균 펩토이드(펩타이드 유도체 신물질)를 개발했다. 이 펩토이드는 적혈구 등 인체 세포에 대한 낮은 독성을 보이면서도 다제내성균을 포함한 다양한 박테리아 균주에 대해서 광범위한 활성을 보였다.

또 세포막 파괴와 더불어 세포 내 여러 소기관 및 유전자의 응집을 유도하는 다중타겟 메커니즘 작용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80여 종의 펩토이드 라이브러리를 합성하고 항균활성 및 독성스크리닝을 통해 펩토이드29를 유효물질로 발굴했다. 펩토이드29가 세균을 죽이는 작용이 단시간에 일어남을 확인했다.

항균 펩토이드가 박테리아를 죽이는 과정에서 기존에 간접적인 증명만 가능했던 메커니즘을 굴절률 기반 3차원 홀로그래피 단층촬영 현미경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직접적 규명에도 성공했다.

서지원 교수는 “이번에 발굴한 다중타겟 메커니즘 기반의 항균 펩토이드는 향후 다제내성균 치료제 개발 연구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