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부동산 경기, 과연 살아났는가
![]() |
||
| ▲ 임현덕 스피드뱅크 대전충청지사장 | ||
노무현대통령 당선 직후 모든 충청권의 부동산 시장은 활화산처럼 타올랐다. 거들떠 보지도 않던 외곽지역의 아파트 및 분양권은 급등세에 이어 심각한 투매현상까지 촉발되었다.
이에 정부에서 들고 나온 것이 강력한 규제정책이었다. 2003년 5월과 10월에 단행된 ‘주택시장 안정 종합대책’등은 단숨에 과열된 부동산 시장을 꽁꽁 얼어붙게 만들었다.
충청권의 부동산 시장을 돌다보면 바야흐로 ‘웰빙의 시대’요, ‘서해안의 시대’라는 사실을 실감하게 된다.
충남 당진의 경우 INI스틸(옛 한보철강) 정상화와 하이스코·휴스틸 등 철강 대기업의 잇따른 입주, 신도시 개발 추진 등의 호재가 겹치면서 부동산 투자 열기가 후끈거려 땅값이 두 배 이상으로 급등하고 있다.
이런 호재는 아산(美 오웬스 코닝사의 아스팔트싱글 생산공장 건립), 서산(기아자동차 입주), 태안(현대건설과 기업레저특구 추진) 등 대부분의 자치단체에 산재해 있다.
웰빙 문화의 확산으로 인한 전원주택과 주말농장 등의 열풍이 불면서 그동안 관심밖에 있던 지역들도 불황과 규제라는 단어를 무색케 할 만큼 부동산 시장은 타오르고 있다.
그러나 대전의 경우는 사정이 좀 다르다. 열악한 지역 경제와 규제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투자의 손길을 찾아볼 수 없다. 그나마 좀 나은 곳이 행정도시 예정지와 접해있는 유성구 노은지구 등이고, 나머지는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
왜 그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상대적으로 강한 규제와 오를대로 오른 높은 가격의 틀을 깨고 투자할만한 이슈가 없기 때문이다. 외형적으로는 대전시와 유관기관에서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듯 하다.
대덕연구단지의 R&D특구 지정과 아울러 4월 12일 대전시는 대전을 유비쿼터스형 도시로 만들겠다고 했다.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의 개정으로 주택 재개발 사업 또한 활기를 띠고 있다. 대덕테크노밸리 2차 아파트의 분양도 곧 개시될 조짐이다. 그러나 안을 들여다보면 심히 우려스러운 부분이 있다.
우선 R&D특구법의 제정에 따른 투자유치는 미온적이고, 재개발 사업 또한 시행 초기 단계부터 지가상승과 주민보상 등 이해관계의 폭이 넓어지면서 주민 반발 등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분양사업은 더욱 심각하다.
대전지역의 평균 분양가가 지난해 평균보다 1.6% 낮아진 평균 559만 원선에 형성되고 있으나 대덕테크노밸리의 경우 지가 상승 등에 따른 원가부담으로 인해 평당 분양가가 평균 700만원을 넘어설 조짐이다.
대덕테크노밸리 2단계 아파트 분양업체인 한화, 우림, 금성백조 등 3개 건설업체는 4월 중순쯤 동시분양을 계획했다가 분양가를 확정하지 못하고 미루던 중 4월 13일에 이르러서야 우림건설이 평당 분양가 665∼720만원으로 유성구청에 분양신청을 했다.
한화와 금성백조도 비슷한 가격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지역의 부동산 경기 활성화의 모티브는 행정도시 개발에 따른 대토, 이주자택지 등의 수용과 직·간접 투자 자본을 얼마나 흡수하느냐에 있다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이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이슈가 있는 정책의 개발이 따라야 하리라고 본다.
이슈의 개발은 지역의 특수성을 살려야 하는데 대전지역의 경우 이미 조성된 과학도시의 이미지를 심층 강화하여, R&D특구의 활성화에 대안이 없다는 각오로 정진하여야 하지 않을까 싶다.
/ 임현덕 스피드뱅크 대전충청지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