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 흉상 이전 논란' 이장우 "공과 검증부터" 민주당 "즉각 철회"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과 관련 "공과(功過)를 명확히 재조명해야 한다"며 신중론을 폈다.
이 시장은 7일 시정브리핑에서 '흉상 이전 논란을 어떻게 보느냐'는 질의에 대해 “홍범도 장군에 대한 인생 궤적 추적을 다시 확실하게 정리해야 한다고 본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그가 태어나서 독립운동에 어떻게 관여했는지 공과를 재조명하는게 우선”이라며 “이념의 잣대가 아니라 현재의 가치와 맞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뜻”이라고 이념 논쟁에 선을 그었다.
다만 이 시장은 공보다 과가 많은 상황이라면 지난 2021년 유성구 현충원 인근에 지정된 ‘홍범도장군로(명예도로)' 폐지를 시사했다.
이 시장은 “현충원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다 희생되신 분들이 안장된 곳 아닌가”라며 “이념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건국과 전체의 과정에서 굉장히 잘못된 여러가지 문제는 충분히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은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념으로 편을 가르는 것은 굉장히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홍범도 장군의 삶과 활동을 전문가들이 정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고 사실인지 아닌지 싸우는 것 보단 전문가들과 함께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끝으로 이장우 시장은 “다만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을 지키는 국가관이 투철한 군인을 키우는 기관”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홍범도 장군 흉상이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것 보다는 독립운동과 관련한 기관에서 모시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현직 지방의원들은 단식농성과 단체행동을 통해 흉상 지키기에 올인하는 양상이다. 때문에 흉상 이전을 둘러싼 중앙 정치권의 이념 논쟁이 대전 지역 정가로 확전될 조짐이다.
이날 민주당 소속 대전 서구의원들은 서구의회 앞에서 성명을 내고 홍 장군 흉상 이전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홍 장군의 유해를 대전현충원으로 모신 지 2년 만에 벌어진 이 사태는 민족성 멸족이자 역사 정통성 말살 행위"라며 "흉상 철거를 즉각 철회하고 역사암살, 민족암살 행태를 즉시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대전모임 공동대표 오광영·조성칠 전 대전시의원은 지난 5일 대전시청 앞에서 무기한 단식투쟁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