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교육청·경찰청, 1회용품 퇴출에 ‘한배’
김태흠 지사, 김지철 교육감·유재성 청장과 1회용품 근절 협약 본청·직속기관·교육지원청·일선 학교·경찰서까지 실천 나서기로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충남도가 앞장선 ‘1회용품 퇴출’ 선언에 도내 여러 공공기관 또한 한배를 탔다.
지난 6월 도와 함께 도의회, 직속기관, 사업소, 출장소 등이 먼저 나서고, 이달 들어 15개 시군과 도 산하 공공기관이 첫 발을 뗀데 이어, 이번엔 도교육청과 도경찰청이 7일 동참하기로 약속했다.
김태흠 지사는 이날 도청 상황실에서 김지철 도교육감, 유재성 도경찰청장과 공공기관 1회용품 근절 및 범도민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협약내용으로 ▲도교육청과 도경찰청은 청사 내 1회용품 반입 금지 ▲사무실·회의실에서 1회용품 및 페트병 먹는물·음료 사용하지 않기 ▲청사 내 커피전문점은 다회용컵 전용 매장으로 전환 및 매점 등은 1회용품 판매 금지 ▲외청·산하기관 등에서 1회용품 없는 깨끗한 공공청사 조성에 참여 ▲각종 행사 등은 1회용품 없는 행사로 전환토록 노력 ▲매월 10일을 ‘1회용품 없는 날’로 정해 캠페인을 전개하고, 생활 속 탈 플라스틱 실천 방안 홍보 및 교육을 통한 범도민 확산 노력 등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도교육청과 도경찰청 본청은 물론, 직속기관, 교육지원청, 일선 경찰서 등도 1회용품 근절에 동참하게 되지만, 각급 학교는 학생 준비물과 1회용기 포장 급식 메뉴 등이 있는 점을 감안, 점차적으로 줄이기 위해 노력키로 했다.
김 지사는 “탄소중립은 일상생활 속 실천이 가장 중요한 만큼, 충남은 지난 6월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먼저 청사 내 일화용품 사용과 반입을 전면 금지했다”며 “모두가 어렵다고 했지만, 불과 두 달 만에 텀블러와 다회용 컵 사용이 일상화 됐고, 플라스틱 쓰레기도 30% 이상 줄었다”라고 피력했다.
김 지사는 이어 “교육청을 통해 일선 초중고교의 자라나는 아이들까지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문화가 퍼지면, 탄소중립 실천은 우리의 일상으로 확고히 뿌리내리게 될 것이며, 1만 명이 넘는 충남경찰 한 사람 한 사람이 종이컵만 쓰지 않아도 놀라운 탄소중립 효과를 낼 것”이라며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