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충남지사, 격렬비열도 ‘다목적항 개발’ 추진상황 살펴
해양 관광 자원화·환경 보존 방안 모색도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19일 서해 중부 최서단 영해 기점 도서이자, ‘서해의 독도’로 불리는 태안 격렬비열도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국가 관리 연안항 개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해양 관광 자원화와 해양 환경 보존, 어족 자원 보호 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김 지사가 이날 대한민국 1호 친환경 하이브리드 선박인 늘푸른충남호를 이용해 찾은 격렬비열도는 태안 안흥항 서쪽 55㎞ 거리에 위치해 있다.
새가 열을 지어 날아가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이름붙여졌으며, 북·서·동 3개 섬과 부속 도서로 총 면적은 50만 190㎡로 독도(18만 7554㎡)보다 2.7배 가량 넓고, 중국 산둥반도와 268㎞, 공해와의 거리는 22㎞에 불과하다.
이 일대는 또 어족자원이 풍부해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이 성행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난 2014년 중국인들이 매입을 시도했던 섬은 서격렬비도다.
도는 ▲영토 수호 및 국가 안보 ▲수산 자원 보호 ▲서해 중부 핵심 거점 항만 개발 ▲해양 관광 자원 개발 ㅍ해양 관측 장비 설치 지원 ▲사회적 비용 절감 등을 위해 격렬비열도에 국가 관리 연안항을 설치해야 한다고 보고 해양수산부 등에 지속적으로 요청, 민선8기 출범 이후 ‘격렬비열도항’으로 최종 지정받았다.
이에 따라 격렬비열도항은 해수부 유인 등대와 기상청 서해종합기상관측기지가 있는 북격렬비도에 설치한다.
이 항만은 영해 관리와 선박 피항을 주 목적으로 활용할 예정으로, 개발 완료 시 ▲영토 분쟁 원천 차단 ▲해경·어업지도선 출동 거리 단축을 통한 중국 어선 불법 조업 신속 대응 ▲선박 안전 항행 유도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해수부는 현재 격렬비열도항을 포함한 신규 항만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 중이다.
김 지사는 “격렬비열도는 외교·군사적 요충지이자, 우리 영토를 결정하는 국가기준점이 설치된 곳”이라며 “우리 도는 서해와 국토를 지키기 위해 격렬비열도를 핵심 거점 항만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정부에 강력히 건의했고, 이 같은 노력 덕분에 국가 관리 연안항으로 지정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이어 “항만을 새로 만들면 우리 영토를 지켜내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항만 개발 뒤에는 “격렬비열도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관광 자원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와 함께 2025년까지 233억 원을 들여 해양쓰레기 제로화 사업을 추진하고, 해양 부유물이나 침전 쓰레기 처리 전문 선박 추가, 친환경 부표 제작 및 쓰레기 수거 로봇 개발 등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