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교육청, 인구감소 대응하기 위해 '적정규모학교' 구축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충남교육청이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지역 인구 지역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적정규모학교 구축사업’을 구축한다.
김현기 기획국장은 21일 오전 교육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래주도형 적정규모학교’ 구축 계획을 밝혔다.
김 국장은 “학생 수 감소는 소규모학교 지속 증가로 이어져 교육여건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을 위한 지역적 협의과정의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기반시설과 연계한 미래형 학교 구축이 필요하다”며 ‘적정규모학교’ 구축사업의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도교육청이 밝힌 적정규모학교 유형으로는 ▲학제 통합형 ▲학교급 통합형 ▲학교복합화형 ▲지역자립형 ▲도농연계형 ▲일체형 ▲지역자율형 등 총 7가지다.
또한 교육과정 운영 모형으로 ▲무학년제 ▲학교와 마을 결합형 ▲일반·대안교육 복합형 ▲통합운영 교육과정형 ▲학습공원형 ▲플랫폼학교형 등 6가지 모형도 개발하여 함께 제시했다.
도내 각 지역 교육지원청은 학부모, 학생, 교직원, 지방의회 의원, 동문회 대표, 관계기관 공무원, 지역활동가 등으로 이뤄진 ‘적정규모학교 추진 협의체’를 구성하여 지역여건에 맞는 유형을 교육공동체의 합의를 통해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올 11월 말까지 도교육청에 제안서를 공모하게 된다.
교육청은 종합 검토해서 올 12월에 사업 대상지역을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김 국장은“학생의 개별성에 맞춘 다양하고 혁신적인 미래주도형 적정규모학교 실현할 것”이라며 “지역 내 소규모학교의 적정규모화를 위한 통합을 우선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