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디스플레이산업 분야 역대 최대 규모 9,500억 원 투입
정부 공모 선제적 대응 무기발광디스플레이 예타 대상지 아산시 선정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충남도는 산업부 주관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스마트모듈러센터’ 구축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지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유재룡 산업경제실장은 26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충남이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심지로 확실히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에 따르면 천안·아산 디스플레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및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에 이은 쾌거로, 예타 통과 시 사업 대상지인 아산 탕정테크노일반산업단지에는 디스플레이산업 분야 역대 최대 규모인 9,500억 원이 투입된다는 설명이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는 산소 및 수분에 취약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단점을 보완하고, 태양광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과 고휘도 및 장수명을 구현해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한계를 뛰어넘는 나노 크기의 신기술이다.
산업부는 2025년부터 2032년까지 기술개발 7,905억 원, 기반시설 1,595억 원 등 9,5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총 사업비 중 국비 규모는 7,431억 원이다.
도는 아산시, 한국광기술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충남테크노파크, 디스플레이산업협회와 협업을 통해 아산 탕정테크노일반산단 내 6400㎡ 부지에 건축면적 4000㎡ 규모로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스마트모듈러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센터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 지원과 공정 전반에 걸쳐 기업들이 자유롭게 시험할 수 있는 실증시설로, 60종의 실증장비를 구축해 ▲화소제조 기술 25개 ▲패널제조 기술 27개 ▲모듈제조 기술 개발(25개) 3개 분야에서 77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유 실장은 “초소형·고효율 화소기술, 고속 패널형성기술, 초대형 모듈러 디스플레이 제조기술 등 디스플레이 신시장 선점을 위한 3대 초격차기술 확보를 목표”라며 “이를 통해 4000명 넘는 지역 일자리와 3조 6,000억원에 달하는 생산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 실장은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는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기 위한 초격차 기술 및 경쟁력·생산성 확보라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초격차를 유지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예산 수립이며,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유 실장은 “중국은 국가에서 큰 돈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OLED분야에서 많이 쫒아왔지만, 기술, 인력 등 초격차·신격차·고격차 전략을 통해 선두를 이어 나갈 것”이라며 “현재 건설 중인 혁신공정센터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분야 국내 최고·최대 기반시설을 조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