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탄소중립경제특별도 실현 의지 대내외에 ‘천명’
김태흠 지사, 제6회 충남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서 선포 1주년 성과 및 계획 발표 농축산·저탄소 산업구조·탄소중립정책 3개 분야 9개 과제 3년 내 실현 할 것”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충남도가 ‘탄소중립경제 특별도’ 선포 1주년을 맞아 탄소중립경제 추진 성과와 실현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도는 26일 보령 머드테마파크 컨벤션홀에서 김태흠 지사와 김동일 보령시장, 윤석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 안순철 단국대총장, 션 길마틴(Sean M. Gilmartin)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마틴 프리어(Martin Freer) 이알에이(ERA) 대표 등 국내외 전문가, 기업, 대학, 연구소, 유관기관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6회 충남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올해 포럼은 개회식, 특별세션, 수소산업육성·신기술 개발·인재양성 업무협약, 수소정책 발표 및 토론에 이어 27일 대산수소연료전지 발전소 등 수소산업 현장 방문 순으로 진행된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전국 58기의 석탄화력발전소 중 절반인 29기가 충남에 입지하면서 발생한 각종 피해와 도민의 희생, 그리고 국가 제10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2036년까지 도내 발전소 14기 폐지에 따른 피해를 보고 있다”며 “열악한 여건을 극복하고자,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지난해 10월 6일 탄소중립경제 특별도를 선포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1년간 이뤄낸 크고 작은 성과 중 ▲석탄화력 폐지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ㅍ탄소중립경제 분야 국비 2300억원 확보 ▲세계 최초 60%급 수소혼소 터빈 실증 ▲탄소중립경제 활성화 기업 지원 조례 제정 ▲탄소중립경제 실현을 위한 상생협약을 소개했다.
김 지사는 “탈석탄 에너지 전환의 연착륙을 위한 석탄화력 특별법 제정은 올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 같다”며 “탄소중립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도민의 인식 전환인 만큼 기업이든, 기관이든, 단체든 모든 구성원은 탄소중립에 대한 절박한 심정으로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김 지사는 “앞으로 3년에 대해서는 탄소중립을 위한 5대 전략 70개 과제 중 ▲농축산 ▲저탄소 산업구조 ▲탄소중립정책 선도 3개 분야에서 9개 과제 만큼은 책임지고 추진할 것” 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탄소중립경제 특별도 추진을 위해 2045년까지 52조 1000억원을 투입해 미래경제, 전환경제, 순환경제, 생활경제, 탄소중립 국가허브 5대 전략과제를 추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한 전국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102조원(충남 64조원), 부가가치창출 43.5조원(충남 28.4조원), 고용파급 62만 7000명(충남 40만 9000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26년까지 9개 과제에 52조원의 절반이 23조 5000억원을 투입할 것”이라며 “변화에는 과감한 용기가 필요하다. 오직 도민만 생각하며 강력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