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국 대전관광공사 사장, “명품축제와 차별화된 인프라로 꿀잼도시 일구겠다”

윤 사장 취임 1주년 맞아 '공사의 주요 성과 점검하고 향후 주요 추진 과제 제시'

2023-11-01     김용우 기자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지난해 10월에 취임한 윤성국 대전관광공사 사장은 지난 1년간 대전관광공사의 주요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주요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공사는 코로나19 종식 선언 이후 새로이 다가오는 관광산업의 최전선에서 차별화된 도시마케팅과 관광활성화 전략으로 일류관광 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의지를 1일 밝혔다.

올해 대전관광공사는 문체부로부터 대한민국 야간관광 특화도시로 대전이 선정되어 올해부터 4년간 총 56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대전의 체류형 관광을 활성화하는 26개 사업을 실행해 나가고 있다. 첫해인 올해는 16개 사업을 추진했다.

지난 8월에는 초대형 꿈돌이 전시, 옥외 미디어아트, 넥스페리움과 아쿠아리움을 연계한 체류형관광상품인 사이언스나이트캠프를 운영했다.

(좌)

또한 대전국제와인엑스포 및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과 연계하여, 엑스포다리 선셋와인다이닝, 드림열기구 나잇, AI Art 포럼 등을 개최했고, 야간관광 2층 셔틀버스, 3,500여 LED캔들을 활용한 캔들라이트 콘서트(엑스포과학공원)등을 진행했으며, 대표적인 제빵기업 성심당과 ‘꿈돌이 마들’빵을 개발․판매하고 호텔오노마와 연계한 객실 프로모션도 성공적으로 추진한 바 있다.

(좌)

작년 12월 문체부로부터 대전컨벤션센터와 둔산동 일원의 216만㎡(65만평)의 지역이 ‘대전사이언스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되어 회의시설과 집적시설의 교통유발부담금 감면과 관광기금을 지원받게 되었다. 대전사이언스 국제회의 복합지구는 대전컨벤션센터, 신세계아트앤사이언스, 호텔오노마, 롯데시티호텔 등 9개의 회의시설과 집적시설이 위치해 있다.

관광공사는 국제회의 복합지구 선정됨에 따라 2027년까지 5년간 최대 4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32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첫해인 올해는 8.4억 원의 국비와 시비를 확보하여 과학 MICE 도시 브랜딩, 스마트 안내시스템 구축, MICE 창업 지원 및 육성, MICE 인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 6개의 사업을 추진했다.

올해 12회째를 맞은 대전국제와인엑스포는 기존 와인페스티벌을 와인엑스포로 명칭을 변경하고 엑스포과학공원, 엑스포다리, 엑스포시민광장까지 행사규모 확대와 더불어 새로운 와인행사 프로그램들을 보강하여 전년의 2.7배인 23만 명이 방문하는 등

국내 최대 와인행사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고 국제회의, 대회, 전시 및 시민문화행사가 결합한 복합 마이스 행사로 개최했다. 38개국에서 3,667개 와인을 출품과 16개국이 전시에 참여했다. 무엇보다 23만 명의 방문객이 행사에 참여하여 지역 경제에 활력을 주고 대전의 꿀잼도시 이미지를 강화하는 성과가 있었다.

대전국제와인엑스포의

공사는 지난 1년간 대전의 대표적인 시민행사들의 흥행을 이어갔다. 관광공사는 대전국제와인엑스포, 대전빵축제, 시민광장 야외스케이트장과 물놀이체험장, 과학공원 엑스포30주년 관련 행사 등 대전을 브랜딩하고 방문객을 유치하기 위한 행사들을 활발히 개최했고 행사들은 모두 전년보다 월등히 많은 방문객을 유치했다.

또한 관광공사는 대전0시축제는 대전시와 공동 주관하여 총 109만 명의 방문과 1,739억원의 경제효과에 기여했고 관광공사는 레트로 공연, 설치물과 공연 등의 꿈돌이 콘텐츠 및 옥외 미디어파사드 등을 담당하여, 올해 처음 개최된 대전0시축제의 성공 개최를 지원했다.

2023

대전빵축제는 전년보다 56% 증가한 70개 빵집이 참여하고 12만 명이 방문했다. 공사의 사전홍보가 수십만 팔로워를 보유한 다수의 대형 SNS에 2차 확산되어 600만 이상의 계정에 노출되어 “빵잼도시” 이미지를 형성했다.

윤성국 사장은 “꿀잼도시 도시브랜드 캠페인에 주요 행사들을 연계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타겟마케팅을 수행하여, 방문객 유치와 도시의 이미지 강화의 두 가지 효과를 보았다”고 말했다.

이외 ▲ 과학행사의 유치와 성공적 개최, ▲ 꿈돌이의 도시 대전, 지역 마스코트 마케팅의 성공모델 확립, ▲ 반려동물 관광과 체류형 관광 활성화, ▲엑스포과학공원 3단계 개발사업, ▲ 보문산 개발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윤성국 대전관광공사 사장은 “2024년은 관광활성화를 위한 관광인프라를 확충하고, 대전에 특화된 관광상품과 명품축제를 확대하여 시민들이 더욱 깊게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도시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며, “국제회의 복합지구의 활성화로 더 많은 MICE 행사를 개최하여 대전의 지역경제발전에 보다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