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公, 기후위기 대응 지하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방안 모색

가뭄·홍수 등 급증하는 기후 재난, 영농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 수자원으로서 지하수의 중요성 인식 확대

2023-11-03     최형순 기자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 2일부터 3일까지 양일간 충남예산 스플라스리솜리조트에서 농어촌 지하수 활용 증대 및 효율적 이용·관리를 위한 ‘2023년 지하수자원관리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2023년

전국 지하수 관리업무 담당 공무원, 전문가 등 300여명이 참석한 이번 워크숍은 △농업용수와 지하수개발 △농업생산기반정비 정책(농업용지하수 관리)방향 △지하수관측망을 활용한 농업가뭄 관리 정책 제언 등 지하수자원 관리·활용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선진기술과 최신동향을 소개하고 효율적인 이용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공사의 지하수댐, 지하수함양 등 대용량 미래 지하수자원 공급 기술 사례 공유는 가뭄·호우 등 물 관련 기후 재난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농식품부, 지자체 관계자의 깊은 공감과 호응을 얻었다.

​2023년

아울러, 영농기 대비 비급수기 밭작물에 대한 지하수 공급관리, 지하수시설물 유지관리 등에 대한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참석자의 지하수자원 관리의 이해를 높였다.

한국농어촌공사 김규전 수자원이사는 “작년 한 해는 전 세계에서 발생한 기후 재난이 직전 20년간 평균보다 많았다” 며 “이번 워크숍을 통해 농식품부, 지자체 등 정보 교류와 협력 강화로 지하수자원을 활용한 치수 대책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고 전했다.

공사는 2001년부터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농촌 지하수관리를 위해 ‘지하수자원관리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KRC 지하수 기술 나눔센터’ 운영을 통해 지자체·농어민을 대상으로 지하수·지질 분야의 기술을 지원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