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 지역 건설업체엔 '그림의 떡'

한화, 내부 입찰시스템 통해 차집관로 하도급 업체 2곳 선정 대전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조례 있음에도 뒤늦은 '계획서 요청'

2023-11-14     김용우 기자
대전하수처리장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총 7200억 원 규모이자 대전시 최대 민간 투자사업인 ‘하수처리장 시설현대화사업’이 추진 중인 가운데 지역 건설업체엔 '그림의 떡'이라는 하소연이 나오고 있다.

주관사인 한화건설이 하도급 공사를 협력업체로 국한했기 때문인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전시의 역할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14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대전하수처리장 시설현대화 사업의 일부인 차집관로 공사를 진행할 하도급업체가 최근 선정됐다.

기존 원촌동 하수처리장에서 금고동까지 10.9㎞ 길이의 차집관로를 2개 공구로 나눠 하는 공사로 한화건설은 대전 소재 A업체와 충북 소재 B업체를 선정했다.

2곳 모두 한화의 협력업체로 각 공구마다 들어가는 공사 비용은 200억 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한화는 내부 입찰시스템을 통해 하도급 공사 입찰을 실시했다는 입장이다.

한화 관계자는 한 매체에 "각 공구마다 6개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는데 입찰을 할 수 있는 업체는 통상적으로 한화에 등록된 업체 중에서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주관사인 한화의 내부 입찰시스템을 통해 하도급 업체가 결정돼 한화와 일을 하지 않은 지역업체는 입찰 기회마저 부여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역업체에겐 그림의 떡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 같은 소식에 지역 건설업체들은 허탈감이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한 지역업체 관계자는 "대전에서 대형 공사인 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이 추진되면서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며 "차집관로 공사 입찰 공고가 나길 기다렸는데 협력업체만으로 짬짜미 입찰이 이뤄진 것은 지역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지역업체 관계자는 "지역전문건설협회를 통하면 각 업체의 시공 능력을 확인할 수 있고 검증된 업체들이 입찰에 많이 참여해야 공사 단가도 낮출 수 있다"며 "지역에서 이뤄지는 최대 규모의 기반시설 공사를 협력업체라는 이유만으로 충북 소재 업체를 선정한 것은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평소 지역 건설업체 하도급 비율 극대화에 나서고 있는 대전시는 뒤늦게 한화 측에 지역업체 상생발전 계획서를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한화 측에 하도급 업체를 어떤 기준을 가지고 어떻게 선정할지 등 종합적인 안을 이달 말까지 달라고 요청했다"며 "제출한 안을 분석해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전시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조례‘는 지역에서 건설 관련 사업을 진행하는 업체는 지역 상생발전 계획서를 대전시장에게 제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 지역 중소 건설업체와 공동 도급 비율을 49% 이상, 지역건설산업체의 하도급 비율을 70% 이상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한편 대전 지역 건설경기는 역대급 한파를 맞고 있다. 2023년 기준 대전지역 시공능력평가액 상위 10위권 내 한 지역 중견 건설업체는 최근 법원에 법인회생 신청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