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수능] 킬러문항 배제 했지만...국·수·영 모두 어려웠다

2023-11-16     이성현 기자
2024학년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정부의 킬러문항 배제 방침 이후 처음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킬러문항 없이도 변별력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은 물론 올해 9월 모의평가보다도 어렵다는 평가를 받았고, 수학 영역은 까다로웠던 지난해와 비슷했다. 영어 영역도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려웠던 것으로 분석됐다.

제일학원, 송원학원, 이투스에듀 등 입시업체 등에 따르면 16일 실시된 수능은 국어와 수학, 영어 모두 일정한 변별력을 확보해 향후 입시에 중요한 변수로 활용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어의 경우 수험생들이 EBS 연계 강화로 독서는 쉽게 접근 가능했을 것으로 봤지만 문학에서는 복합 지문에서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언어와 매체’에서 ‘중세 국어의 훈민정음 제자 원리’ 낯설어하는 수험생이 있었을 것이라고 봤으며 수학과의 표준점수 차이가 커 불균형을 이뤘던 지난해 수능보다 변별력을 확보했다고 봤다.

수학은 공통과목의 경우 지난해 수능보단 다소 쉽게, 9월 모평과는 비슷하다고 분석됐고, 선택과목은 다소 어려웠던 지난해 수능과는 비슷했고 9월 모평에 비해선 다소 까다로웠을 것으로 봤다. 전체적으로 킬러 문항 없이 변별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모두 평이하게 출제됐지만 세 과목 모두 28~30번 문제에서 변별력을 줬다고 분석했다.

절대평가인 영어 영역 역시 지난해 수능보단 어렵고 9월 모평과는 비슷하게 출제됐다고 분석됐다. 독해에서 추상적 내용의 지문은 줄어들었으나, 답을 찾는 과정에서 생각을 요하거나 매력적 오답을 포함한 문제들이 많아서 문제 풀이가 까다로웠을 것으로 봤으며 빈칸 추론 및 문장 삽입 유형의 문제가 변별력 높은 문제들로 봤다.

킬러 문항 배제로 시험이 쉬워질 것이라는 수험생들의 예상과는 달리 어려웠다는 평가 속에 성적 또한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수능은 졸업생 등 비율이 크게 증가하면서 킬러문항 배제에 대한 기대도 있었는데, 그 결과에 이목이 집중된다.

한편 수능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서 16~20일 할 수 있다. 성적 통지는 다음달 8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