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서울시 서울퀀텀플랫폼 포럼 개최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서울시와 오는 21일 ‘서울퀀텀플랫폼 포럼’을 공동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 개최되는 포럼은 출연연, 대학, 기업 등 각계의 양자기술 전문가와 과학기술 분야 연구·정책 리더들이 함께 모여 다가올 양자 시대를 대비해 양자기술 산업화를 주도할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場)이 될 예정이다.
포럼은 ‘서울, 양자 시대로의 변화’를 주제로 양자기술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이해부터 산업적 활용 방안에 대한 모색까지 양자기술 산업화에 대한 선제적 대비를 위해 전문가들의 지혜를 모으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 바이오, AI 등 첨단기술 분야 창업생태계를 성공적으로 조성해 온 서울시가 미래 핵심 전략기술인 양자 분야의 산업화를 견인할 시 차원의 육성 전략도 소개한다.
포럼은 KIST 한상욱 양자정보연구단의 사회를 시작으로 고려대 채은미 교수의 양자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특강, 서울시 김정안 과장의 양자기술 산업 육성 계획 발표에 이어, KISTI 류정희 박사의 양자 시대 대응 전략에 대한 발표순으로 진행된다. 이후, 김재완 고등과학원 교수 주재로 발표 내용에 대한 패널토론 및 청중과의 Q&A 세션이 이어질 예정이다.
서울시는 서울에 있는 양자원천기술 보유 대학과 연구소, 그리고 50여 개에 이르는 기업을 연결하여 산업화를 촉진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강소특구로 지정된 홍릉에 ‘서울양자기술융합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양자클러스터로 발전시켜 바이오와 양자 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KIST 윤석진 원장은 “향후 5년은 양자기술이 실험실을 넘어 산업으로 뻗어나가는 양자 대전환의 분기점으로, 대한민국 양자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는 마지막 골든아워”라며 “산·학·연이 서로를 경쟁자로 여기는 각자도생의 길을 넘어 개방과 협력을 통해 양자 분야 기술 주권 확보에 힘을 모아야 하며, 서울이 양자 분야 산·학·연 융합의 장으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