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택구 “둔산지역 층고제한 과감히 풀고 용적률 상향”
대전의 지속가능한 미래 1차 포럼 개최 전문가들 “규제 과감하게 타파해야” 공감대 형성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이택구 전 대전시 행정부시장이 노후계획도시 문제 해결 방법으로 층고제한 해제와 용적률 상향 등 규제 타파를 제시했다.
22대 총선 대전 서구을 출사표를 던진 이 전 부시장이 '둔산 재개발'을 핵심 과제로 내세우며 이슈 선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대전의 지속가능한 미래(이하 대지미)’ 포럼은 5일 오후 2시 오페라웨딩 2층 타임홀에서 ‘노후계획도시,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제1차 포럼을 개최했다.
1차 포럼에서는 정경석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의 ‘대전시 노후계획도시의 현황 및 과제’와 정태일 공학박사(전 대전시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의 ‘노후 계획도시 관련법 제도 및 대전시의 기본방향’이라는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패널 토론에서는 이 전 부시장과 함께 송영규 전 대전시건축사회장과 정병헌 우송대 교수, 이시영 배재대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여해 노후계획도시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 전 부시장은 패널 토론에서 “큰 틀에서 보면 둔산지역은 위치 자체가 중요한 지역”이라며 “재개발 부분에 있어서도 층고를 두고 논란을 겪는데 높이 제한을 굳이 둘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층고 제한을 과감히 풀고 용적률을 상향해야 지역민들이 가고자 하는 길을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동주택 용지뿐 아니라 월평·갈마·탄방·만년 등 단독주택 용지 대책으로 필지합병을 허용하고 과감한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획기적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 주제발표와 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들 역시 같은 의견을 내비치면서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날 축사에 나선 서철모 서구청장은 “제가 그동안 생각했던 부분도 많이 담겨져 있는거 같다”며 “특별법이 만들어지면 둔산지구에 대한 종합적인 정비 아웃라인이 만들어질 수 있는데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