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기초의원보다 한심한 당협위원장 정치력

자리싸움할때 불구경하다 여론악화에 뒤늦게 사과 징계 성명 발표

2012-07-27     김거수 기자

민주당통합당 대전시당 이상민 위원장은 대전지역 기초의회의 후반기 원구성을 둘러싼 밥그릇 싸움에 대한 시민들의 비난이 쏟아지자 이들을 징계하고 자신도 사과 성명을 발표하는 등 뒤늦은 대책에 대해 무기력한 정치력 부재라는 지적이다.

대전 중구(위원장 이서령) 민주당출신 기초의원들의 욕설 파문에 이어  이상민 위원장의 지역구 유성구의회는 의장 당선자의 가처분 신청 등 고소 고발 사태로 한지붕 두가족이란 비판에 우리 지역 정치가 중대한 위기에 맞고 있다.

이들 기초의원들은 자리 싸움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말로는 선진정치 행동은 후진적인 작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은 선거당시 지역당협위원장의 잘못된 공천 때문에 국민의 불신과 환멸의 종결자라는 평가를 받게 만든 주원인 이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들 기초의원들만이 잘못이라고 보는 것은 언론보도 태도는 잘못된 것 같다. 먼저 잘못된 인물을 공천한 지역위원장들의 사람보는 눈이 일차적으로 책임이 더 크다는 지적이다.

당협위원장들이 원구성을 앞두고 사전에 정치적 조율이라도 했다면 방지할 수 있었던 인재라는 것이다 국민들의 정치적인 여망과 욕구도 불구하고 사태가 발생할땐 불구경하다가 잡음이 일어나니까 징계를 한다고 호들감을 떨고 있다.

법조인 출신인 이상민 의원이 제도정치를 통해서 하나하나 풀어 순리대로 나가지 못한 것이 현실정치에 대한 조정능력이 미숙해 이같은 사태로 확전된 것은 책임에서 자유롭지가 않다.

이런 시각은 자기들끼리 싸움만하고 자기들의 이익만 추구하다가 국민의 질책이 쏟아지자 책임회피용으로 속전속결로 징계위원회를 구성해서 처분하고 결과를 언론에 공표하는 것은 정치적 불신을 낳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한결같이 출마 당시 낡은 정치를 청산하고 깨끗한 정치를 펼치겠다고 국민들에게는 약속하면서 표를 달라고 호소했던 사람들이 아무도 알아주지도 않는 감투 때문에 같은 당 의원을 배신하고 타당 의원과 합종연행하며 이득을 챙기는 정치인들의 자질에 문제가 많다.

민주주의 정당정치의 실종과 정치력 부재를 보여준 당협위원장들의 책임 면피용으로 자기 지역구일을 시당에서 처리하는 모양새도 보기 싫다는 것이 지배적인 여론이다.

당협위원장은 상급자 이면서 공천권을 행사하는 막강한 자리다 이들이 사건이 발생되기 이전에 단호한 처벌을 가했었다면  국민이 정치를 걱정하지 않고 더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아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오는 2014년 지방선거에서는 불량의원들은 반드시 심판해서 자리싸움 같은 것을 원천적으로 제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