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교육발전특구, 영유아부터 대학생까지 교육시스템 전체 개혁"
대전교육청, ‘찾아가는 교육발전특구 설명회’ 개최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전시교육청이 11일 교육부가 주최하는 ‘찾아가는 교육발전특구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는 교육발전특구 홍보영상 시청,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 추진 계획 설명, 교육발전특구와 연계 가능한 교육 개혁 과제 설명에 이어 2024년 학교시설복합화 공모 계획에 대해 안내하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교육발전특구는) 영유아 시기부터 대학생까지 아우르는 교육 시스템 전체를 개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교육발전특구는) 이제 과거처럼 중앙에서 획일화된 정책을 통해 바꾸는 것이 아닌 지역 차원에서의 아이디어, 변화들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며 "대전이 선두주자로서 적극적으로 임해주시면 교육부도 대전교육발전 파트너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하겠다"고 말했다.
설동호 교육감은 "교육청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유치를 위해 지자체,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 유관기관과 적극 협력하며 대전의 특색을 살린 교육특구 모델을 구안하고 있다"며 "디지털 교육 혁신과 대학 및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연계한 미래과학인재 양성과 산업인재 양성으로 교육발전특구 청사진을 그려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세심한 준비를 통해 대전 교육 모델이 대한민국 표준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 역시 "이번 설명회가 대전만의 색채를 입은 교육발전특구가 만들어지는 데 큰 밑그림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설명회는 이주호 부총리와 설동호 대전교육감,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한 지자체, 대학, 지역 산업체, 특구관련 관계자, 교육청 및 시청 직원 등 200여 명을 대상으로 대전지역 특색있는 교육발전특구 사업 모델 개발을 위해 대전지역 환담회를 시작으로 사업설명회, 특성화고 현장방문, 간담회 등이 열렸다.
한편 교육발전특구는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및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 발전의 큰 틀에서 지역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으로 '지방시대 4대 특구 정책' 중 하나다.
지역에서 교육받은 인재가 지역대학에 진학하고 취·창업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하고 공교육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교육발전특구에 선정되면 3년간 의대 정원 등 교육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되고, 최대 100억 원의 정부 재정 지원도 받을 수 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공모는 내년 2월 9일까지며 3월 초에 결과를 발표한다. 2차 공모는 내년 5~6월로 7월 말 발표한다.
앞서 교육청과 대전시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공모사업 추진체계 구축을 위해 지난 7일 대전교육청에서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했고 앞으로도 계속 협의를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이 부총리와 설 교육감은 설명회 후 충남기계공업고를 찾아 특성화고 교육시설을 탐방하고 참석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