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정 의원, "계룡시 녹물, 수도관 관리 부실 누적이 근본적 원인"
김미정 계룡시의원 시정 질의... "계룡시 수도관 관리 소홀 누적" 질타 "신뢰 잃은 상수도 행정 회복할 의지 있나" 질문 이어져
[충청뉴스 계룡 = 조홍기 기자] 계룡시 상수도 적수 민원에 대한 집행부 태도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의회에서 제기됐다.
김미정 계룡시의원은 18일 본회의에서 일부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수돗물 관련 민원 원인과 대책에 관해 시정질문을 펼쳤다.
김 의원은 먼저 "수도법에 의해 10년마다 수도정비계획을 수립하고 5년마다 수도정비계획의 타당성을 재검토하여 이를 반영한 후 수도관의 현황 조사 및 세척, 갱생, 교체 등 수도관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함에도 계룡시는 이를 소홀히 하여 부실이 누적된 것이 민원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언급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계룡시는 「수도법」 제4조에 의한 ‘계룡시 수도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0년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5년마다 단계별로 총 73,368미터의 노후관을 계량하도록 계획하였고 기본계획에는 1단계인 2020년까지 28,296미터를 교체하도록 수립했지만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따르면 관내 배수관 67,022미터 중 20년 이상 노후관은 31,914미터로 47.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천문학적 예산이 소요되는 송수관로 교체 예산이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점도 꼬집었다.
김미정 의원은 "2024년 중기지방재정계획에 포함하지 않은 것은 추후 노후관 교체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밖에 없는데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노후관 교체예산을 반영하지 않은 이유가 단순 누락인지, 실제로 25년부터는 교체사업을 안하겠다는 것인지 답변해 달라"고 말했다.
또한 상수도 민원에 대한 행정 불신에 대한 목소리도 담았다.
김 의원은 “계룡시 수돗물 환경부 먹는물 수질기준 적합이라는 현수막을 계룡시 곳곳에 게시하여 민원인들을 자극함으로써 토론방에서 계룡시와 소송을 준비하자는 의견까지 제시되는 등 민원인과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현재 신뢰를 잃은 상수도 행정에 대해 어떠한 방법으로 시민 신뢰를 회복할 것인지 답변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적절한 보상방안 의향과 계룡시 수돗물 수질검사를 시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검사기관으로 변경할 수 있는지 물었다.
답변에 나선 이응우 계룡시장은 "2024년도 중기지방재정계획상 노후 상수도관 교체 예산은 총 142억원을 반영했다"라며, "국·도비를 반드시 확보하여 2025년 중기지방재정 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검사기관을 제외하고 시민들이 지정해 주시는 기관으로 재선정하여 검사하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