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3연패' 국민의힘, 향후 정국 '가시밭길'
100여석 확보 참패 탄핵 저지선 겨우 지켜 야당 비협조 땐 국정과제 실현 등 불가능 대통령실 인적개편, 정부 개각 등 불가피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국민의힘이 ‘또’ 무너졌다. ‘총선 3연패의 늪’에 빠지며, 수권 능력에 대한 의구심까지 자아낸다. 특히 22대 총선 패배는 향후 ‘식물 여당’ 전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낳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 2016년부터 이번 22대 총선까지 세차례 총선에서 연거푸 패배했다.
국민의힘의 전신인 새누리당은 2016년 20대 총선에서 단 1석 차이로 민주당에 졌다.
이후 2020년 21대 총선에선 미래통합당 간판으로 103석을 얻는데 그쳤다.
이번 총선 역시 지역구 90석, 비례정당 당선인 10여 명에 그치며, 향후 국정운영 ‘가시밭길’을 짐작케 했다.
개헌 및 탄핵 저지선이자 대통령 거부권 행사 시 재의결 법안 부결 요건인 101석 이상은 간신히 지켜냈지만, 야당 협조 없는 국정과제 실현은 꿈도 못 꿀 처지가 됐다.
특히 범야권이 전체 의석의 5분의 3에 해당하는 ‘180석 이상’을 차지하면서, 야당 추진 법안의 강행 처리가 가능해 졌다.
또 김건희 여사 관련 특검,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등에도 속도가 붙으며, 범야권의 여당 압박 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상황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잦아지는 국면으로 이어져 정부-국회간 냉각 국면으로 귀결될 공산이 크다.
집권여당의 총선 패배는 대통령실 인적 개편과 개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국민이 정부 ‘중간평가’ 성격의 총선을 통해 심판의 메시지를 전달한 만큼,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의 변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지고 당정이 서로 책임 떠넘기기를 할 경우, 내홍이 격화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