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꼭'... 권선택 전 시장 광복절 특사 기대감 고조
법무부 8일 사면심사위 일부 정치인 사면복권 가능성 고개 이장우 시장 사면 대상 포함시키려 전방위 노력 결실 맺길
[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대전지역의 시선이 대통령 ‘광복절 특사’로 쏠리고 있다. 배경엔 권선택 전 시장 사면·복권에 대한 기대감이 깔려있다.
특히 대전시장 취임 전 후 권 전 시장을 위해 전방위로 움직여 온 이장우 시장의 노력이 ‘결실’을 맺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법무부는 오는 8일 사면심사위원회를 열고 광복절 대통령 특별사면·복권 후보자를 가릴 예정이다.
정·관계에선 이번 특사가 ‘경제 살리기’ 콘셉트로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지만 일부 정치인의 사면도 거론돼, 권 전 시장 사면에 대한 기대를 높이는 상황이다.
실제 중앙 정치권을 중심으로 정치인 일부 사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김경수 전 지사와 조윤선 전 문체부장관 등이 복권 대상으로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여권에선 안종범 전 대통령정책조정수석비서관, 야권에선 신학용 전 의원 등이 사면 대상으로 거론된다.
이번 광복절 특사와 관련해 충청권의 최대 관심사는 권선택 전 대전시장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윤석열 정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사면·복권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번번히 고배를 마셨다.
이 때문에 권 전 시장 사면 복권 실패는 충청 정치력의 한계, 역량 부족 등을 여과없이 노출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사실 권 전 시장 특사는 지역정치권의 오랜 숙제였다. 지난 2015년 율사 출신인 문재인 전 대통령이 권 전 시장에 대한 검찰 기소가 이뤄졌을 당시 “명백한 정치보복이자 탄압”이라고 평가하며 권 전 시장의 무죄를 주장한 뒤 사면·복권의 필요성 제기는 계속 돼 왔다.
하지만 문 전 대통령은 ‘입’으론 권 전 시장 기소의 부당함을 주장하면서도, ‘행동’으론 그를 사면하지 않고 5년 임기를 마무리 했다.
이후 ‘공’은 윤석열 정부로 넘어갔다. 윤석열 대통령 탄생의 1등 공신 중 한명으로 평가받는 이장우 시장이 직접 나서 전반위로 노력해 왔다. 그리고 지역에선 열매를 맺을 시기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는 상황이다.
특히 권 전 시장의 경우 2023년 신년 특사 대상인 제6대 지방선거에 출마해 당선됐다가 정치자금법 위반 등의 혐의로 ‘중도하차’했지만, 지난해 특사 대상에서 제외돼 지역민에게 큰 상실감을 안겼다는 점에서 이번 특사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한편 권선택 전 시장은 지난 2017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의 형이 확정됐다.
지역에선 불법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실형을 살던 안희정 전 충남지사(2006년 8월 15일)와 비례대표 공천과 관련해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으로 기소됐던 서청원 전 의원(2010년 8월 15일) 등이 광복절 특사를 통해 정치적 재기의 발판을 다진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