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세종의사당·대통령집무실 건립비 확보…정부 의지 재확인
- 시정 현안 사업 내년도 정부예산안 1.6조 반영 - 올해 정부예산 대비 5.1% 증액…미래전략수도 기반 조성 탄력 - 국제정원도시박람회 77억ㆍ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 23억 반영 -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최민호 세종시장은 27일 브리핑을 통해 "오늘 국무회의를 통과한 내년도 예산 정부 677조 원 중 우리 시 관련 예산은 1조 5,977억원으로, 올해 정부예산 대비 775억 원(5.1%)이 증액된 것으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에서도 정부 총지출 증가율 (3.2%)보다 높은 증가율을 달성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시정 4기 역점 추진해 온 미래전략수도 기반 조성과 자족기능 확충, 시민 안전 제고를 위한 사업 추진에 탄력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 미래전략수도 기반 조성을 위한 핵심 사업 대거 반영
무엇보다 가장 큰 성과는 지난 7월 국제행사심사위원회에서 총사업비의 20% 이내 지원이 가능한 2등급을 받았고, 산림청과 기재부에 적극적인 건의로 26 세종국제정원도시 박람회 개최에 필요한 국비지원 첫해에 최대치인 77억을 모두 확보한 것이다.
내년도 정부예산안에는 미래전략수도 완성을 위한 핵심 사업들도 충실히 반영되었다. 행복청과 협력을 통해 ‘국회세종의사당’ 건설을 위한 부지매입비 350억, ‘대통령제2집무실’ 건립 예산 45억이 반영되어 정부의 사업추진 의지를 재확인하였으며,
행복도시에서 조치원까지 연결된 BRT를 홍익대까지 연장하는 ‘세종~천안 BRT’ 구축 사업도 정부예산안에 신규 반영되어 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인정받았다.
2027 하계세계대학경기를 위한 ‘종합체육시설’ 건립비 99억 원과 우리시 최초의 국제기구인 ‘유네스코 국제해석설명센터’ 청사 건립 예산 18억 원도 확보하였다.
■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자족기능 확충 현안 사업 확보
세종시의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과 경제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시정 현안 관련 예산도 대거 확보되었다.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해 ‘지역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 사업에 23억 원 신규 반영되었고, 내년도 과기부 공모 시 우리시 주도로 충청권 4개 시도가 협력하여 사업 유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국립민속박물관 이전건립’ 사업이 102억 원으로 올해 대비 67% 증액되었고, ‘지역투자촉진 보조금‘은 11% 증액된 43억원이 반영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 30억원, ‘한글 목조탑 건립’ 2.5억원 및 ‘실내형 한글놀이터 조성’ 사업에 4억원이 모두 신규 반영되어 세종대왕의 묘호를 물려받은 세종시가 한글문화수도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 시민 안전·편의 증진 사업 반영, 삶의 질 향상 탄력 기대
시민 안전과 편의를 높이기 위한 사업은 재해위험 개선을 위한 노송천 정비사업에 5억 원이 새롭게 반영되므로써 전의 읍내, 맹곡, 덕현, 월하, 삼성 지구와 함께 6곳에서 정비사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전액 시비로 추진 중인 ‘노후상수도 정비’와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 사업이 각각 19억원, 5억원이 신규 반영되어 시비 절감 효과과 동시에 노후관로 정비의 신속한 추진을 통해 시민 생활 편의를 증진할 예정이다.
이외에 ‘공공형 버스(두루타)’ 사업이 전년 대비 2배 수준인 51억 원이 반영되고, ‘스마트 경로당 보급’에 14억 원이 반영되어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