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한밭대, 글로컬대학 고배...‘초광역연합’ 대전보건대만 유일
대전 한남대도 탈락...충남은 건양대 최종 선정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비수도권 대학에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30 사업 최종 선정에서 충남대-한밭대가 결국 아쉬운 고배를 마셨다.
28일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글로컬대학 2기 본지정에 선정된 10개 대학을 발표했다. 대전지역에서 글로컬대학에 선정된 곳은 대구보건대, 광주보건대와 함께 초광역 연합으로 도전했던 대전보건대가 유일하다.
이날 발표에 앞서 충남대-한밭대(통합), 한남대(단독), 대전보건대(초광역연합형) 등 4개 대학이 예비 선정된 바 있다.
지역 거점국립대인 충남대의 탈락은 아쉬움을 더하고 있다. 그간 충남대와 한밭대는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 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양쪽의 입장차가 평행선을 달리면서 논의가 길어졌고 대면평가 당일 통합합의문이 작성됐지만 결과에 영향을 주진 못했다.
충남대는 탈락 직후 보도자료를 통해 한밭대와의 통합 논의 종료를 선언했다.
통합 논의를 종료하고, 내부 역량 결집을 통한 새로운 혁신을 추진해 국가거점국립대학으로서 위상을 재정립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입장이다.
충남대 조철희 기획처장은 “글로컬대학사업 수주를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해 왔고 한밭대와의 통합 논의도 메가 캠퍼스 구축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논의 돼 왔다”면서도 “이번 2024 글로컬대학 사업에서 탈락함에 따라 통합을 전제로 기획돼 온 많은 추진과제 실현이 불가능하게 됐으며, 특히, 한밭대와의 통합 논의는 글로컬사업에서 탈락함에 따라 원칙적으로 종료됐음을 명확히 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충남대는 향후 내부 혁신과 체질 개선에 집중하고 차년도 글로컬대학사업 재도전과 RISE사업비 최대 확보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탈락한 한남대는 창업교육 역량을 토대로 지역발전전략과 연계한 ‘K-스타트업밸리’ 대학모델을 제시했지만 고배를 마셨다.
대전보건대를 비롯한 한·달·빛 글로컬보건연합대학(대구·광주보건대)는 기술별 특화 캠퍼스를 조성하는 등 향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배출해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남지역에선 건양대가 글로컬대학에 최종 선정됐다. 건양대는 ‘지역과 함께 세계로, K-국방산업 선도대학’을 비전으로 ▲국방산업 중심의 지역발전 선도대학 ▲학생 중심의 국방융합인재 양성대학 ▲세계와 지역을 잇는 글로컬대학 등을 목표하겠다며 9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