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추석 지출이 계획된 평균 예산 56만 3,500원

- 추석 음식 마련비 전년 대비 23% 줄일 것...지출감소 의향 수산물이 제일 커 - 경제적 부담에도 추석 송편은 국산으로 준비할 것

2024-09-09     최형순 기자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사)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전국 1,05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올 추석 지출이 계획된 평균 예산이 56만 3,500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님 용돈 35.5%, 차례상 차림 비 21.0%, 교통비 13.2%, 부모님 선물 구입비 8.2% 등의 순으로 큰 지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65만 7,800원으로 지출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50대(59만 3,300원), 60대(57만 5,400원), 30대(52만 1,600원), 20대(43만 6,900원)순으로 나타났으며, 40대의 지출 부담이 가장 큰 비용은 부모님 용돈으로 전체지출액 중 47.2%를 부모님 용돈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례상 차림 계획을 묻는 질문에 간소화 할 것 이란 답변이 3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안할 것 26.7%, 가족 식사상으로 대체 24.0%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통 방식을 살려 예년처럼 할 것이란 답변은 14.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차례상 차림을 하지 않거나, 간소화 하는 사유로는 30대와 40대는 경제적 부담을 꼽았고, 50대와 60대는 가사 부담을 덜기 위해서라고 답변했다.

차례상 음식 마련 시 가장 부담이 큰 지출은 과일구입비(4.15점/5점 만점)로 나타났고, 그 뒤를 이어 축산물(3.88), 수산물(3.74), 채소·나물(3.69), 떡·전류(3.49), 냉동·냉장식품(3.36), 음료·주류(3.14) 순으로 추석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삼중고와 함께 맞은 추석, 작년 대비 상차림 음식 구입 예산은 모든 식품군에서 감소했다. 그 중 수산물의 지출 감소 의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32%), 떡류·전류(-28%), 과일(-26%), 음료·주류(-24%), 냉동·냉장식품(-20%), 축산물(-18%), 채소·나물(-16%) 순으로 지출을 줄 일 것으로 답변했다.

상차림 예산의 경제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국산 구매 의향이 높은 식품은 송편을 포함한 떡류로 나타났다. 떡류 구매 시 국산구매 의향이 3.7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채소·나물(3.73), 과일(3.52), 수산물(3.33), 음료·주류(3.27), 축산물(3.19) 순으로 나타나 수입산 구매 의향은 축산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소비자공익네트워크 관계자는 "차례상 차림비 뿐만 아니라 명절 관련 부수적 소비까지 소비자 부담이 높다"라면서 "특히, 부모님 용돈이나 교통비 등 주요 지출 항목을 미리 정리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차례상 차림 예산이 예년에 비해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농축산물 할인지원 행사와 온누리 상품권 환급행사 등 추석 대비 할인 행사를 최대한 활용하여 가계 예산에 맞는 실용적인 차례상 차림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