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파선' 된 국힘 대전시당
당 기강 무너져 지방의회 원 구성 구태 등 문제점 속출 윤리위원장 인선도 못해 적절한 징계 및 재발방지 난망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22대 총선 참패 후 ‘날개’가 꺾인 대전 국민의힘이 끝없이 ‘추락’하는 모습이다. 일각에선 복구가 불가능한 ‘난파선’이 됐다는 말까지 나온다.
대전 국민의힘의 ‘몰락’ 정황은 곳곳에서 감지된다. 가장 비근한 사례는 지방의회 원구성이다.
무분별한 자리 다툼, 감투에 눈 먼 의원들의 타당·무소속과 야합 등 구태가 버젓이 자행됐다.
이 과정에서 정당정치의 가치는 훼손됐고, 민주주의의 원리와 다수결의 원칙은 목표 달성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
24일 의장을 선출한 대덕구의회의 경우 국민의힘이 전체 의원 8명 중 반수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의장 자리를 ‘무소속’에게 내줬다.
자리 욕심에 ‘눈이 먼’ 일부 의원들로 인해 정당의 단일대오가 붕괴, ‘제 밥그릇’도 못 챙기는 정당으로 전락한 것이다.
이 때문에 대덕구의회 국민의힘은 절대 다수 의석 보유에도 불구하고 타당·무소속과 야합 의혹을 받는 특정 의원을 제외하곤, 전원이 후반기 ‘자리’를 못 받는 상황에 놓였다.
대전시의회 원 구성 역시 국민의힘의 ‘정당 민주주의 훼손’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 사례다.
전체 의원 19명이 모여 의원총회를 열고 제9대 대전시의회 후반기 의장으로 김선광 의원을 내정했지만, 정작 본회의에서 결과가 뒤집혔다.
의원들은 의총 결과를 어길 경우 중징계를 받는다는 서약을 맺었고, 해당 자료를 국민의힘 대전시당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소득은 없었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의 ‘책임정치’가 실종됐음은 물론, 지방의원들이 당에 대한 최소한의 소속감도 갖고 있지 않음을 엿볼 수 있는 단적인 사례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당론을 어기거나 당의 품위를 훼손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지만, 이를 징계하고 재발을 방지할 시스템마저 갖추지 못하고 있다.
당의 가치를 훼손하고 정당민주주의에 ‘먹칠’을 할 의원들을 징계해 재발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기구인 윤리위원회 위원장 인선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 6월 21일 제13차 운영위원회에서 이상민 대전시당위원장을 선출한 지, 100일 가까운 시간 동안 당 조직 정비가 이뤄지지 않아 시급한 당무 처리에 지연을 겪는 탓이다.
특히 이 위원장이 25일 1차 당직자 인선을 발표하며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윤리심판위원장 출신인 김근종 한국의료관광학회장을 수석부위원장에 임명한 점은 아이러니를 느끼게 한다는 분석도 있다.
국민의힘 소속 한 유력인사는 “당의 기강이 무너졌다. 지방의원들이 다수결의 원칙, 민주주의의 원리, 정당정치 가치에 대한 이해가 없다”며 “문제가 발생했는데 신속한 징계조차 못하는 실정을 보며 앞으로가 걱정스럽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