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채 천안시의원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유치해야"
임시회 5분 발언 통해서 센터 유치 당위성 설명 천안·아산 관할 센터 1시간 거리...초동대응 필요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유영채 천안시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쌍용1·2·3동)은 14일 "천안·아산시를 근처에서 관리할 수 있는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이하 센터)를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안·아산의 인구가 100만 명이 넘어가지만, 화학사고 발생 시 초동대응에 시간이 걸려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유영채 의원은 이날 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273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센터 유치 필요성을 설명했다.
센터는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 발생 시 화학물질 확산방지를 위해 협업 기관 간 신속한 합동 대응을 위한 기관이다. 천안은 금강유역환경청(대전 유성구), 아산은 서산센터가 관할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에서 화학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동대응이 이뤄지지 않으면 주변으로 피해가 확산해 대규모 인명·재산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센터가 양 도시로부터 각 1시간 이상 소요되는 거리에 있다는 점이다.
천안시는 대형 산업단지가 백석동, 부성2동 등 인구 밀집지역과 인접해 있다. 대형 산업단지가 위치한 아산시 탕정면은 천안시 최대 인구 밀집 지역인 불당동과 이웃해 있다.
유 의원은 "충남도 내 1,047개 유해화학물질 영업소 중 47%가 천안·아산에 있고, 공교롭게도 충남 인구 47%가 천안·아산에 거주하고 있다"며 "사실상 천안·아산은 화학사고 대비에 취약하고, 대형사고 발생 시 많은 사람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환경부는 최근 리튬전지 제조공장 대형화재가 발생한 화성시에 센터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인구가 많은 천안·아산도 화학사고 발생 대응을 위한 신규 센터를 설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센터 부지에 관해서는 KTX 천안아산역세권 R&D 집적지구 활용을 제시했다.
유 의원은 "천안에서 화학사고 발생 후 부랴부랴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생기지 않길 바란다"며 "행정부는 센터 설치 필요성을 공론화하고 충남도, 아산시와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행정력을 총동원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