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구매기준·학생안전지킴이 선발 기준 제각각”...대전교육청 행감 도마 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전시의회 교육위원회가 11~12일 대전시교육청 및 동·서부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한 가운데 교육청의 고가 물품구매기준과 학생안전지킴이 선발 기준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우선 지난 11일 교육위원회 소속 김민숙 대전시의원(민주·비례)은 행정국 행감에서 정회근 행정국장에게 지난해 재정과 컴퓨터 구매 상황과 함께 상반기엔 통합구매, 하반기엔 분리발주한 이유를 물었다.
김 의원은 “1~3억원까지는 10%, 3~5억원까지는 15%, 5억원 이상은 20% 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냐”며 “(물품구매를) 통일성 있게 하셔야 하지 않냐”고 지적했다.
이에 정 국장은 “하반기로 접어들면 납품 시기도 있고 지역업체 경제활성화 측면도 고려했다”면서 “상반기에는 5억원이 넘었기 때문에 통합구매했고 하반기엔 각 기관별 예산이 5억원이 넘지 않아 분리발주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제각각인 기준을 행정국에서 잡아줘야 하지 않느냐”면서 “매번 기준이 달라지는 게 논란의 소지가 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12일엔 학교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이날 민경배 의원(국민의힘·중구3)은 대전 동·서부교육지원청 소관 행감에서 학교 지킴이 시스템이 배움터지킴이와 새싹지킴이로 나뉘어 선발방식이나 기간 등이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 의원에 따르면 배움터지킴이는 각 학교장이 위촉하고 30~50세 연령제한이 있지만 새싹지킴이는 대전시 위탁 시니어클럽에서 선정하고 노인일자리 사업의 일환인지라 고령이 대부분이다.
민 의원은 “같은 대전지역 학교인데 어디는 배움터지킴이가, 어디는 새싹지킴이가 배치돼 있다”면서 “겨울방학에도 방과후나 돌봄수업이 계속되는 상황에 학교 안전에 사각지대를 만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지킴이의 목적은 학생 안전 보호, 외부인 단속, 생활지도 등”이라면서도 “가장 중요한건 교육활동 중 외부인 출입 단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박세권 서부교육장은 “지킴이별 학교 지정은 규모에 따라 본청에서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방학기간 중) 공백은 각 학교에서 자체 인력을 충원해 관리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