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가오초, 사제동행 ‘사랑 나눔터’ 운영... 나라사랑·통일의지 함양
[대전시교육청-충청뉴스 공동캠페인]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전가오초등학교(교장 이연옥)가 체험 중심 교육 활동을 통한 나라사랑·통일의지 함양을 목표로 나라사랑·통일 동아리를 2년째 운영하고 있다.
대전가오초는 청소년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고 있는 요즘 나라사랑·통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가치관과 태도를 함양하며 평화적 협력과 공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나라사랑·통일교육을 활발하게 실천하고 있다.
■ 청소년 통일인식 개선 위한 ‘사랑 나눔터’ 동아리 운영
“통일이 되면 좋을까요? 우리 할아버지는 북한에 동생을 남겨 두고 오셔서 빨리 통일이 돼서 동생을 만나야 한다고 하시지만 저는 북한에 아는 사람도 없어요. 그냥 이대로 살아도 괜찮은데 왜 굳이 통일을 해야 할까요?”
동아리 운영 전 설문조사를 통해 나온 학생들의 말이다. 학생들은 통일에 대해 그리고 한민족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도, 진지하게 생각해보지도, 깊이 있게 알아보지도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에서 종종 실시하는 통일교육이나 강연 시간에도 교과서에서 배운 지식 이외에 마음에서 우러나는 통일에 대한 관심은 많지 않은 것이 안타까운 현실. 이때문에 나라 사랑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가치관과 태도 및 건전한 의식을 함양하고 한반도 남북관계에 있어서 평화적 협력과 공존을 위한 평화통일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대전가오초는 학생들의 바람직한 통일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 아래 ‘사랑나눔터’ 동아리를 운영하게 됐다.
■ 체험·참여 중심 통일 교육...실천적 학습 방식 반영
대전가오초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통일 관련 미디어 자료, 통일 놀이 자료를 수업에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통일문제에 쉽게 접근하고 통일 관련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통일의식을 함양하고자 했다.
그러나 아직은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이 현저히 부족하여 학교에서 하는 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이에 독립기념관, 현충원 등 관련 기관의 온·오프라인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통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노력했다.
현충원 비석닦기와 태극기 꽂기 봉사활동에 참여한 한 학생은 “현충원에서 참배와 비석 닦기 활동에 처음 참여해 봤다”며 “현충버스를 타고 현충원 곳곳을 둘러보며 이렇게 수많은 비석을 보니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순국선열이 셀 수 없이 많음을 알았고, 선생님, 친구들과 함께 봉사활동을 하니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더욱 샘솟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대전가오초는 대전시교육청에서 주관한 ‘2024년 나라사랑·통일 체험교육’에서 통일부 청소년 교육기관인 한반도통일미래센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고, 통일미래에 대한 이해와 관심, 나아가 긍정적인 인식을 높일 수 있었다.
■ 계기교육 및 전통문화 체험 등 삶과 연계된 나라사랑·통일 교육
나라사랑·통일에 대한 주제와 테마로 구성된 교실 환경을 통해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진됐으며, 교실 수업을 통한 통일 교육과 더불어 6.25 참전용사나 탈북민 등 전문가 강연을 통해 전쟁의 아픔과 통일의 소망을 다져보게 됐다는 게 대전가오초 설명이다.
4.19혁명이나 5.18민주화운동, 6월 항쟁, 광복절 등 시기에 맞는 계기교육을 실시해 자유 민주주의 신념과 민족 공동체 의식을 함양했고, 순국 선열과 호국 영령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다지며 나라사랑 의식을 고취했다고 했다.
아울러 나라사랑교육의 일환으로 효문화캠프, 전통놀이 체험, 전통 떡과 간식 만들기, 우리문화 소개 영상만들기 등의 활동으로 우리 문화와 전통에 대해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평화와 화해·협력의 중요성 인식 및 나라사랑·통일 실천 의지를 형성하여 통일 미래 세대로서의 역량을 함양하였으며, 각종 교육활동을 통해 나라사랑의 마음과 평화 통일에 대한 관심 제고 및 통일의지를 굳건히 다지며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했다. 평화로운 관계 형성 교육의 일환으로 남북 관계에 있어서의 평화로운 관계, 평화 통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통일 리더십을 배양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강화했다.
평화통일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다. 분단의 시간이 오래 지속될수록 세대 간의 생각의 차이는 심해지고 있다. 이에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뤄지는 평화통일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학생들이 체감하기 어려운 분단의 현실과 평화통일의 염원을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한 다양한 나라사랑·통일 체험 활동으로 운영한다면 북한 및 통일문제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고 통일 감수성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 위 기사는 대전시교육청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