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특별재난지역 지정 '총력'

박상돈 시장 "피해액 147억 원...민생문제 집중" 천안시의회, 본회의서 '선포 촉구 건의문' 채택 이재관 의원 "국회서 할 수 있는 노력 다할 것"

2024-12-04     박동혁 기자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충남 천안시가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위해 두 팔 걷고 나섰다.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내린 폭설로 인해 관내 여러 곳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박상돈 천안시장은 4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천안시의 경우 41년 만에 11월 최대 폭설을 기록했다. 강설량도 많았지만, 습기가 많은 습설로 인해 피해가 막심했다.

성환읍에서는 대다수 축사 지붕이 무너지면서 젖소가 매몰됐다. 블루베리 농가에서는 하우스·방조망 시설 등이 완파됐다.

또 거봉포도·샤인머스캣 주산지인 입장면에서도 70여 곳에 달하는 포도농가 비닐하우스가 붕괴하면서 6만 6,115㎡ 면적의 포도농장이 막대한 손해를 입었다.

목천읍에서는 나무가 쓰러지면서 전신주와 전선 등이 훼손돼 3,000여 가구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기도 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피해 복구비를 최대 80%까지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다.

박 시장은 "폭설로 인한 피해액이 147억 원으로 조사됐다. 특히 포도농가의 비가림 시설 피해가 크다"며 "이미 재난지역 선포 요건을 갖췄으나, 오는 8일까지 실태를 파악해 건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잘못하면 소외될 수 있는 저소득층 등에 더 신경 써서 대비하고, 민생문제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천안시의회 의원들도 가세했다. 천안시의회는 이날 정례회 본회의에서 폭설에 따른 천안시 농가 피해 복구를 위해 김철환 시의원(국민의힘)이 대표발의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촉구 건의문'을 채택했다.

김철환 의원은 "이번 폭설은 일반 건설보다 최대 3배 무거운 습설로, 일반 농가에서 사전 대처가 불가능했다"며 "국내 거봉포도의 43%를 차지하는 입장면 포도 주산지를 비롯해 블루베리·배 농가 등 과수 농가가 큰 피해를 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별재난지역 지정 ▲정부의 조속한 복구계획 및 피해보상 대책 마련 ▲피해 예방을 위한 조기 예고 및 재해보험 확대 등을 촉구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 전원은 이날 본회의에 불참했다. 최근 민주당으로부터 당원 정지 처분을 받은 1명은 참석했다.

이날 오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를 규탄하며 사퇴를 촉구하는 시위에 참여한다는 이유에서다.

민주당 의원들은 본회의에 불참했지만, 특별재난지역 선포 촉구에는 뜻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천안시을)도 지난 3일 입장문을 통해 특별재난지역 지정·선포를 촉구했다.

이 의원은 “대규모 재난으로 주민들의 생계와 지역경제가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며 "신속한 지원 없이는 피해가 장기화할 우려가 큰 만큼, 조속히 특별재난지역 지정·선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폭설 피해는 홍수 피해와 달리 피해 규모가 증가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정확한 피해 추산을 할 수 있도록 '국민재난안전포털' 입력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며 "재난 극복을 위해 국회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