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ScienceON AI-Reviewer 서비스 출시

2024-12-19     이성현 기자
AI-Reviewer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에서 여러 논문의 비교분석 및 질의응답을 통해 인사이트 도출이 가능한 ‘AI-Reviewer’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AI-Reviewer는 최대 10개의 논문을 비교‧분석해 연구의 목적, 제약 및 한계점,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 방법 등 11개의 관점에서 리뷰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ScienceON에서 검색한 논문은 물론이고, 이용자가 별도로 보유한 논문도 PDF 파일로 업로드하면 함께 비교해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11개의 관점별로 논문의 개별 리뷰를 확인할 수 있으며, 논문들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비교 분석한 종합 리뷰 결과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각 논문의 세부적인 특징은 물론, 여러 논문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이용자는 AI와 질의응답 형식의 대화를 진행할 수 있고, AI가 제시하는 추천 질문을 통해 추가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논문 요약·번역·용어 설명을 제공하는 기존 AI 서비스 AI-Helper와 연계되어 개별 논문에 관한 내용 검토까지 가능하다.

AI-Reviewer의 고도화된 기능 구현이 가능한 이유는 과학기술정보에 특화되고 보안이나 정보 유출에 안전한 KISTI 개발 생성형 언어 모델 고니(KONI)를 기반으로 개발됐기 때문이다.

개발에 활용된 고니(KONI)의 특성으로 방대한 과학기술정보 데이터를 더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On-premise 방식의 개발을 통해 이용자가 보유한 논문을 분석에 활용하더라도 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검색 증강 생성(RAG) 기법을 활용해 생성형 AI 서비스의 문제로 지적되는 할루시네이션(환각 현상)을 최소화해 신뢰도 있는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유수현 융합서비스센터장은 “문헌조사는 연구의 기본이자 향방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이지만, 많은 연구자가 어려움을 겪곤 한다”며 “AI-Reviewer를 활용해 연구 주제와 유관한 논문 간 맥락을 파악하고 연구 공백을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