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의회, 종합청렴도 하락...전국 '최하위’
국민권익위 발표 결과 '5등급' 기록 청렴체감도·청렴노력도 1등급씩 하락 외유성 출장, 시의원 성비위 등 원인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충남 천안시의회가 올해 정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최하위를 받았다. 충남권에서는 유일한 기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9일 '2024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전국 기초 시의회 75곳 중 천안시의회 종합청렴도는 5등급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1등급 하락한 수치다.
청렴체감도는 4등급에서 5등급, 청렴노력도는 3등급에서 4등급으로 각각 지난해보다 1단계씩 주저앉았다.
이 같은 하락 원인은 외유성 해외출장 논란과 시의원들의 연이은 성비위 파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부패행위로 인한 징계, 기소, 유죄판결 등 기관별 부패사건 발생 현황을 감점 요인으로 반영하고 있다.
앞서 천안시의회는 2년 전 연수 취소에 따른 경비 약 1억 원을 돌려받지 못했으나, 지난 6월 8박 10일간 유럽 해외 출장길에 올라 비판을 받았다. 천안시의원 27명 중 22명이 참여했다.
그리고 한 시의원은 동료 여성 시의원을 강제 추행한 혐의로 지난 7월 검찰에 기소됐다. 의회 행사 기념촬영 중 여성 의원의 특정 신체를 팔로 누른 혐의다. 해당 의원은 또 다른 동료 여성 의원의 조례 발의를 방해할 목적으로 비속어 문자를 보낸 것이 드러나 물의를 빚었다.
또 다른 시의원 1명은 지난 7월 의회사무국 여직원을 지속적으로 성추행한 혐의로 고발돼 경찰 수사를 받았다. 무혐의 처분을 받았으나, 천안시청공무원노동조합 등에 피고소됐다.
익명을 요구한 천안시 관계자는 "시민을 대표해 행정부의 행정을 감시하고, 예산심의를 해야 할 의회가 종합청렴도 최하위 등급을 받은 것을 되돌아보길 바란다"며 “시민들로부터 신임을 회복하기 위한 개과천선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명순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부위원장은 “기초자치단체나 지방의회 등 지방현장에서의 내부체감도 부패경험률이 증가하는 부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의회와 달리 천안시는 이번 평가에서 75개 기초자치단체(시 단위) 중 지난해보다 1단계 상승한 2등급의 종합청렴도를 받았다. 청렴체감도(3등급→2등급)와 청렴노력도(4등급→3등급)가 각각 1단계씩 올랐다.
한편, 국민권익위원회는 공공기관과 지방의회의 반부패 노력을 촉진·지원하고, 청렴 인식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매년 청렴도를 평가하고 있다.
평가는 청렴체감도(설문, 60점)와 청렴노력도(실적, 40점)를 더한 후 부패실태(발생 현황, 10점)를 감점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