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충호, 바지사장 대가로 200만원 받아

2006-05-25     편집국

박근혜 대표에게 테러를 가한 지충호씨의 자금 출처가 하나씩 드러나고 있다.

지씨의 테러에 배후 세력이 있다는 의혹의 핵심은 뚜렷한 수입원이 없이 기초생활보호대상자인 지씨가 상식 이상의 돈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지씨는 한달에 휴대전화 통화료로 수십만원을 사용하고 신용카드로 백만원이 넘는 돈을 결제한 것으로 드러났다.

누군가 뒷돈을 대주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배후 의혹이 제기돼온 것이다. 따라서 자금의 출처를 밝히는 일은 지씨 범행의 배후 여부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다.

검.경 합동수사본부의 조사 결과 지씨는 이 돈을 주로 지인들에게 얻어써거나, 이른바 '카드캉' 등을 통해 조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시는 또 유흥업소 사장 명의로 자신의 이름을 빌려주는 대가로 몫돈을 받기도 했다.

CBS 취재 결과 지씨는 지난 2월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의 B 유흥주점에서 자신의 이름을 사장명의로 빌려주고 200만원을 받았다.

이 주점 지배인 A씨는 25일 "지씨가 지난 2월 15일부터 3월30일까지 속칭 바지사장으로 있었으며 주점 사장인 H씨에게 명의를 빌려주는 대가로 아는 후배를 통해 200만원을 줬다"고 말했다.

지씨는 또 자신의 명의로 5개의 은행 계좌를 갖고 있었지만 실제로 사용된 것은 두개다. 이것도 정부가 기초생활 보호자에게 지급하는 생활보조금과 갱생보호공단의 취업알선 후원금을 받는 데 사용됐을 뿐이다.

현재까지의 합수부 조사에서도 수상한 돈이 입금된 흔적은 포탁된 것이 없다.

지씨는 휴대 전화와 관련해 검찰 조사에서 "할부로 구입했으나 돈을 내지못해 연체를 하다, 친구로 부터 돈을 얻어 해결했다"고 진술했다.

지씨의 중요한 자금원은 지인들의 도움과 신용카드였다. 정 모씨 등 지인들에게 수시로 돈을 요구했고 때로는 그들의 집에서 함께 생활하기도 했다.

지난해 11월 발급 받은 신용카드로 700여만원을 사용했다. 이 가운데 절반은 상품권을 구입한 뒤 싸게 팔아 현금을 사용했거나, 속칭 `카드깡'을 받는 데 사용됐다.

이런 와중에서 지씨는 신용불량자가 되지 않기 위해 인터넷 신용정보조회 사이트에 가입해 자신의 대출과 현금서비스 현황 등을 꼼꼼히 챙기며 관리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지씨가 사용한 자금의 출처가 드러나고 상당히 궁핍하게 생활했던 정황들이 확인되면서 배후가 있는 테러보다는 단독 범행쪽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CBS사회부 이동직/감일근 기자 djlee@c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