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합성생물학 데이터 기반 글로벌 연구 동향 및 국가경쟁력 분석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바이오 기술과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 파급력으로 인해 미래 바이오경제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는 합성생물학의 글로벌 연구 동향과 국내 R&D 수준 및 연구경쟁력을 파악하고자 '합성생물학의 데이터 기반 글로벌 연구 동향과 국가경쟁력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0일 밝혔다.
KISTI는 바이오 연구에 있어서 ‘발견’에서 ‘발명’으로의 혁신적 패러다임의 변혁을 가져온, 아직은 태동기의 합성생물학에 관해 초기 연구개발 성과가 비교적 잘 드러나고 있는 학술 문헌데이터 1만4437건을 대상으로 과학 계량적 지표를 활용한 통계분석, 군집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 등을 통해 글로벌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주요 기술 선도국들의 연구개발 수준과 경쟁력, 글로벌 연구 협력관계 등을 분석했다.
바이오 분야의 반도체라 일컬어지며, 생명과학에 공학적 개념을 도입해 인공적으로 생명체 구성요소나 생명 시스템을 설계·제작·합성하는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에 대해 KISTI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2000년 이후 합성생물학 관련 용어나 논문의 연평균 증가율이 32%라는 놀라운 결과가 보여주듯 혁신 기술로 급성장 중이며, 특히 중국의 성장은 매우 급진적이어서 2022년도부터는 선두를 달리던 미국을 앞지르는 양적 성장뿐 아니라 백분위 기반 피인용 상위 10% 엑셀런스의 질적 성과분석에서도 미국을 추월하여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중국의 높은 활동도지수(Activity Index) 분석 결과는 중국 정부의 합성생물학에 대한 전폭적이고 막대한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합성생물학 R&D 활동은 미국, 중국, 영국, 독일, 일본 등에 비해 뒤처진 세계 13위 수준으로 글로벌 연구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